산업연구원은 국내 균형발전 추진체계의 변천과 발전 방향을 살펴본 브리프를 발표하였다.
- 2025년 6월 대한민국 제6공화국 9번째 정부의 출범이 예정됨에 따라 균형발전 정책과 추진체계에 대해 중앙과 지방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노무현정부에서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근거하여 구축한 균형발전 추진체계의 큰 틀은 역대 정권 변화에도 불구하고 유지되었지만, 균형발전 추진체계의 단절성 및 연속성 미흡, 대통령 자문위원회 위상의 변동성 및 전반적 역할 약화, 균형발전 추진체계의 유연성 및 자발성·창의성을 유인하는 시스템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음. 균형발전 추진체계의 개편이 균형발전 정책의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난 문제점들을 개선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
- 본고에서는 그간 학계와 지역 현장에서 제기되었던 사항들을 토대로 균형발전 추진체계에서 핵심기구로 인식되고 있는 대통령 자문위원회를 행정위원회로 변경하는 방안, 행정부처로 개편하는 방안, 그리고 대통령 자문위원회 위상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했음. 균형발전 추진체계의 중요성 및 개편 필요성, 새로운 정부의 출범과 조직개편 논의 등을 고려할 때, 국내에서 한 단계 진일보한 균형발전 추진체계가 구축·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논의와 검토가 필요한 시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