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영국 국채시장 불안 사례의 배경과 시사점
한국금융연구원
2025.06.23
한국금융연구원은 영국 국채시장 불안 사례의 배경과 시사점을 분석한 브리프를 발표하였다.

- 2022년 영국의 국채시장 위기를 초래했던 근원적인 취약성은 (1) 국채 금리가 재정건전성 우려에 대해 반응하는 민감도가 과거보다 높아졌고, (2)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펀드의 부채연계투자(Liability-Driven Investment. LDI) 운용전략 의존도가 과도하게 높아졌던 데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영국 국채 금리의 재정건전성 민감도가 높아진 배경에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의료비·연금 관련 재정지출의 지속적인 증가추세와 더불어 고령화된 인구구조에 따른 대규모 코로나19 대응 비용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 영국의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펀드들은 인구구조 변화로 신규가입·추가적립이 중단된 상황에서 저금리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미래 부채 부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동시에 고수익 자산 투자 여력을 확보하고자 LDI 전략 의존도를 높인 것으로 분석됨.

- 현저한 인구구조 변화가 예상되는 국가에서는 영국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LDI 펀드를 비롯한 비은행금융기관의 복원력과 유동성에 대한 관리체계를 선제적으로 정비하는 한편, 비은행금융기관의 레버리지와 파생상품 거래 현황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경제의 활력이 저하되고 저성장이 고착화되는 상황뿐만 아니라 인구구조 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위기에 대해서도 경각심을 갖고 대비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