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은 콘텐츠 산업 현황과 분야별 쟁점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1. 콘텐츠 산업 현황
- 2025년 세계 콘텐츠 시장, 전년 대비 4.4% 증가한 3조 1천억 달러 전망
- 2024년 수출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36억 달러, 2010년 이후 연평균 10.8% 증가
2. 콘텐츠 분야별 쟁점
① 게임
- 한한령 여파, 중국 게임사 성장 및 규제 강화 등으로 주력 수출국인 중국 시장 매출 감소
- MMORPG 편중을 넘어 다변화와 차별화된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 필요
② K팝
- 2024년 음반 판매량이 전년 대비 19.4% 감소하면서 K팝 산업 성장 한계 논란 대두
③ 방송 · 영상 콘텐츠
- [숏폼] 낮은 제작비, 다양한 수익화 구조 등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숏폼 드라마
- [드라마] 글로벌 OTT 구매 확대로 제작비는 상승했으나 제작 편수 줄며 성장 한계에 갇힘
3. 한한령 해제 영향
- 중국 문화안보 전략에 따라 한류를 받아들였다가 폐기한 한한령
- 중국 정부의 시각 변화 없어 한한령 해제에도 K드라마·K팝·게임 수혜는 제한적일 전망
4. 시사점
- 글로벌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K콘텐츠 산업 전략 재정비 필요
- (시장 변화 대응) 코로나19 이후 K콘텐츠 산업의 분야별 회복 속도와 양상이 다르며, 특히 게임, 방송, 음악 등 주요 분야에서 소비·수출 구조의 변화와 플랫폼 생태계 재편이 진행 중이어서 지역 다변화 및 주력 분야 전환, 유통 방식 개선 등 구조적 전환 필요
- (유통 중심 정책 전환) 기존 영상 콘텐츠에 대한 지원 정책은 제작자금 지원 중심이었으나, 글로벌 OTT로 인한 제작비 인플레이션으로 제작 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유통경로 다각화 및 콘텐츠의 지속가능한 수익 구조 구축을 지원하는 정책 전환 필요
- (성과지표 개발) 콘텐츠 소비 환경이 변화되면서 기존 수출 통계에서 포착할 수 없는 다양한 소비 형태가 늘어나고 있어 K콘텐츠 산업 성과를 정밀하게 포착할 수 있는 다층적 지표 개발 필요
- (‘포스트 한한령’ 대비) 한한령이 해제되더라도 중국의 문화안보 전략이 크게 변화하지 않아 과거와 같은 급격한 시장 확대 가능성은 떨어지며,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 중국 수익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구조 및 정치적 신뢰 관계 확보 전략이 필요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