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한국관련자료
최근 일본의 외환수급 구조적 변화 내용과 평가
한국은행
2024.06.11
한국은행은 최근 일본의 외환수급 구조적 변화 내용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최근 미-일 금리차 외에도 다음의 두 가지 요인을 엔화 약세 요인으로 지목
· 일본의 경상수지 흑자 구조가 외화 유입이 동반되지 않는 소득수지 위주로 변화함에 따라 현금 흐름 측면에서 자금유출이 발생하면서 오히려 엔화
약세요인으로 작용 (「통계상의 흑자」와 「실제 현금 흐름」의 불일치 발생)
· 아울러 新NISA(소액투자 비과세 제도)에 따른 개인의 해외주식 투자 증가로 외화 수요가 급증한 점도 구조적 엔화 약세 요인으로 가세

- 이에 따라 일본내에서는 정부의 시장개입 또는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과 같이 즉시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정책보다는 지속성있는 대응방안(해외유보자금의 일본내 환류, NISA의 해외투자 한도 설정 등)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이 증대

- 미 연준 금리 인하와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이 맞물릴 경우 엔화 약세가 어느 정도 시정될 수 있겠으나, 앞서의 구조적인 요인의 해소없이 본격적인 엔고로의 전환은 어렵다는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