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미래 산업·직업구조 대비 신직업 활성화 방안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 정책조정총괄과
2020.08.13 22p
기획재정부는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가 8.13(목) 「미래 산업·직업구조 대비 신직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 미래 직업구조의 큰 변화가 예상되어 정부는 법·제도 개선, 인력양성 지원 등 선제적 대응으로 시장에서 신직업이 활발하게 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함.

- (기존 발표 주요 신직업 추진현황 점검·보완) 그간 발표한 4차례 대책 중 정부 발굴·육성 지원 과제는 총 55개이며, 정상추진 과제 45개, 중장기 검토과제 4개, 지연과제 6개이고, 이 중 시장수요 크고, 미래 대비 필요 과제 3개는 이해관계 조정, 부작용 해소 등 보완방안을 마련함.

- (신직업 추가발굴·육성) ▲(유망 신직업 안착) 최근 경제사회 여건 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상중인 신직업의 민간 활성화를 조속 지원함 ▲(잠재 신직업 발굴) 국내 도입되지 않았으나, 국제사회에서 주목하는 유망 직업 → 도입 필요성 등 연구용역을 통해 검토함.

- (미래 유망일자리 활성화 기반 조성) ▲(인센티브 마련) 신직업 분야 창업 활성화를 위한 청년창업자 경영부담을 경감하고, 이해관계 조율 위해 한걸음 모델 등을 적극 활용함 ▲(워크넷 정보제공) 빅데이터 분석 도입, VR·AR 활용 직업체험 콘텐츠 제공, 연령별 맞춤형 정보제공 페이지 신설 등을 지원함 ▲(추진체계 강화) 대책 이행상황 점검 및 민간 의견 수렴·논의를 위해 “관계부처 TF” 구성·운영함.

<참고> ‘20년 세계경제포럼(WEF) 미래 유망 직업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