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를 위한 비대면 경제 활성화 방안
-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 정책조정총괄과 2020.11.19 27p 정책해설자료
기획재정부는 11.19(목)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를 위한 비대면 경제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 디지털 전환과 코로나19로 ‘일상과 방역의 공존’을 위한 온라인·비대면 수요 급증 → 비대면이 일상화된 ‘뉴노멀’ 시대가 도래함.
- 공공이 선도적으로 핵심 비대면 산업을 중심으로 기기보급 등 기초 인프라를 투자하고,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민간수요 창출을 유도함.
- 비대면 경제 대응력을 제고하고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 8대 비대면 유망분야를 집중적으로 지원함.
- (8대 비대면 유망분야) ①(금융) 핀테크 산업 육성을 지원함 ②(의료) 스마트 의료/돌봄 시스템을 구축함 ③(교육/직업훈련) 온-오프라인 융합환경을 조성함 ④(근무) 재택·원격근무 확산을 지원함 ⑤(소상공인) 비대면 거래시스템을 구축함 ⑥(유통/물류) 온라인·스마트 인프라를 확충함 ⑦(디지털 콘텐츠) OTT 시장을 활성화 함 ⑧(행정) 5G·AI 기반 지능형 정부를 구현함.
- ①비대면 규제 개선, ②비대면 혁신기업 육성, ③포용적 비대면 생태계 조성 등 비대면 경제 맞춤형 기반을 조성함.
- ”비대면 경제”의 성과를 조속히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재정 투자 및 제도 개선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