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규제자유특구 지정 이후 1,255명 일자리 창출
- 중소벤처기업부 규제자유특구기획단 규제자유특구과 2021.01.20 5p 보도자료
중소벤처기업부는 1차부터 3차까지 지정한 규제자유특구 ‘20.12월말 기준 특구 내 기업 등의 고용현황은 8,033명으로 특구로 지정 전과 비교해 1,255명이 증가했으며, ’21.12월까지 829명을 추가 고용할 계획으로 총 2,084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1.20(수) 밝혔다.
- 규제자유특구의 일자리 창출은 주로 1차와 2차 특구에서 나타났고(1,054명), ’20.7월 지정 후 ‘21년 실증을 준비 중인 3차 특구에서도 일부 증가(201명)함.
- 특구별로는 전북 친환경자동차특구가 최다 고용증가(+148명)를 보이며 지엠(GM) 철수 후 지역 내 일자리 회복에 지속적으로 기여 중이고, 초소형전기차 등의 생산 공장이 구축된 전남 e-모빌리티 특구(+115명)와 대구(+102명), 대전(+146명)의 바이오 분야 특구 내 일자리 창출 효과가 두드러짐.
- 기업규모별로는 소기업·소상공인(+546명, 43.5%), 중기업(+385명, 30.7%), 중견기업(+177명, 14.1%)이 전체 특구사업자 일자리 증가의 88.3%(1,108명)를 차지해 중소기업 위주로 일자리가 창출된 것으로 파악됨.
- 업종별로 고용 규모, 증가율이 모두 높은 업종은 제조업, 정보통신업, 전문 과학 기술서비스업(1,050명)으로 전체 고용 증가(1,255명)의 83.7%를 차지했고 이중 모빌리티(자율차, 친환경차 등), 의료기기, 배터리 등 제조업의 비중(699명, 55.7%)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업력별로는 창업 후 3년 미만 21.3%(+267명), 창업 후 3년 이상 7년 미만 24.1%(+302명), 창업 후 7년 이상 54.7%(+686명)로 전체 특구사업자 중 창업 후 7년 이상 기업에서 고용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지난 ’20년 7월 조사*와 유사한 흐름을 보임.
- 이는 사업화 과정에 대한 경험과 신기술·서비스에 대한 기술 성숙도의 차이에 따른 사업화 추진력 격차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됨.
- 향후 특구사업자는 ’21년말 실증 종료 시 까지 총 829명의 신규 고용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실증 완료 후 신기술·서비스의 상용화 추진과정에서 본격적인 일자리 창출 효과가 추가로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참고> 규제자유특구 주요 추진성과(‘20.12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