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2.16.(수), 17개 시·도 혁신 책임관 회의를 개최하고, 「2022 정부혁신 종합 추진계획」에 따라 지자체 차원의 구체적 이행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주민체감형 혁신 확산을 위해 중앙과 지방의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는 2022년에는 주민체감형 지방행정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참여·협력 ▲공공서비스 ▲일하는 방식 등 3대 분야별로 지역의 특성·장점을 반영한 「2022 지자체 정부혁신 실행계획」을 수립·추진함.
- (참여·협력) 「마을공동체 및 지역사회혁신 활성화 기본법(안)」, 청년마을기업 활성화 등을 통해 주민이 직접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우수사례를 확산해 ‘혁신으로 발전하는 지역사회’를 만들어 간다는 방침임.
- (공공서비스) 인공지능(AI)·비대면 공공서비스의 디지털 혁신을 추진하는 한편, 주민이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과제를 발굴함.
- (일하는 방식) 코로나19로 도래한 ‘새일상(뉴노멀)’ 시대에 발맞춰 시스템으로 일하는 지방정부를 구현하고, 주민 눈높이에 맞는 가치를 공직사회에 내재화하여 혁신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예정임.
- 한편, 지자체의 불합리한 조직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2022 지자체 조직문화 혁신 지침서’를 수립하여 지자체 특수성을 반영한 조직문화 혁신전략을 지원하는 등 지자체 공직문화 혁신에도 속도를 냄.
<붙임>
1. 지자체 혁신책임관 회의 개최계획
2. 2022년 지자체 정부혁신 실행계획(안)
3. 2022 지자체 조직문화 혁신 가이드라인(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