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우리나라의 내륙습지 2,704곳의 위치, 면적, 생물상 현황 등의 상세정보를 담은 ‘내륙습지 목록’을 8.2(화)부터 공개한다.
- 환경부는 ‘습지보전법’에 따라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내륙습지 2,704곳의 현황을 조사했으며, 조사 결과를 습지보호지역 지정 등 습지 보전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음.
- 내륙습지의 분포 현황을 지자체별로 살펴보면, 면적 기준으로 전라남도 228.3㎢, 충청남도 198.3㎢ 순으로 나타났다. 개수 기준으로 보면 전라남도 476곳, 경상북도 373곳 순으로 가장 많은 습지를 보유하고 있음.
- 환경부는 이번 ‘내륙습지 목록’ 정보가 습지 보전과 복원을 위한 정책개발 및 연구뿐만 아니라 개발사업 추진 시 환경영향평가 등 참고자료로 활용되어 습지훼손을 사전에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 강성구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은 이번 내륙습지 생태공간정보 공개를 통해 국민들이 습지를 친숙하게 알고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내륙습지 정보의 정책활용도를 높여 과학적인 분석과 객관적 사실에 기반한 환경정책을 펼치겠다고 밝힘.
<붙임>
1. 내륙습지 목록 정보 이용 방법.
2. 내륙습지 목록 공개 내역.
3. 우리나라 습지 분포 현황.
4. 습지 유형별 주요 습지 전경.
5.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