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정보센터

ENG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2022년 2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결과 발표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 정신건강관리
2022.08.10 8p
보건복지부는 2022년 2분기「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8.10(수)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우울) 울위험군은 16.9%로, 코로나19 실태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로 점차 안정화되는 추세이나, 2019년(3.2%)의 5배가 넘는 수치로 여전히 높고 위험한 수준

- (자살생각률) 자살생각률은 2022년 6월 12.7%로 3월(11.5%)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코로나19 초기(2020년 3월 9.7%)에 비해 여전히 높고, 2019년(4.6%)과 비교해도 3배 가까이 높은 수준

-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 불안 등) 코로나19 장기화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 추세를 유지 중이며, 2022년 6월 조사결과는 코로나 기간 실시한 조사 중 가장 낮게 나타남.

- (정신건강 서비스 인지도 및 이용의사)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12.0%에 불과하며, 이용의사 비율(60.2%)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남.

- (일상생활 방해정도, 필요서비스)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 방해정도(0~10점)는 4.4점으로, 지난 3월(5.1점)에 비해 감소

- 실태조사 연구진은 두려움, 불안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적절히 감소하고 있지만 우울의 감소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국민들의 우울감 감소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지적하였음.

- 정은영 정신건강정책관은 자살생각률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크게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자살 위기로 분출될 가능성에 대비하고, 국민 누구나 도움이 필요할 때 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홍보도 강화하겠다고 밝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