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대학의 자율혁신과 자발적 적정규모화 추진을 적극 지원
교육부 고등교육정책실 대학학술정책관 대학재정장학과
2022.09.15 5p
교육부는 대학의 자율적인 적정규모화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대학·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비 1,400억 원(2022년)을 별도 지원한다고 9.14(수) 밝혔다.

- 학령인구 감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대학의 자율혁신 및 특성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반대 및 전문대 총 96개교에서 자율적으로 적정규모화 계획을 수립하고, 입학정원 16,197명을 감축함.

- 특히, 지방대학에서 적정규모화 계획 수립에 적극 동참함에 따라 86% 가량(약 1,200억 원)이 지방대학에 지원되어, 지방대학이 위기를 극복하고 자율적으로 혁신해 나가는 데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

- (적정규모화 계획(2022~2025) 현황) 일반대 7,991명, 전문대 8,206명으로 총 16,197명

- (적정규모화 지원금 배분결과 (2022년)) 2021년 미충원(정원 내) 규모 대비 90% 이상의 적정규모화 계획을 수립한 대학을 대상으로, 일반대에 총 1,000억 원, 전문대에 총 400억 원이 지원

- (선제적 감축 지원금, 총 840억 원) 미충원 규모를 초과하는 적정규모화 계획에 대한 지원으로, 신입생 충원율이 높을수록 우대하여 지원하며, 일반대는 1인당 3,270만 원씩, 전문대는 1인당 1,514만 원씩 배분

- (미충원분 감축 지원금, 총 560억 원) 미충원 규모 내의 적정규모화 계획에 대한 지원으로, 일반대는 1인당 650만 원씩, 전문대는 1인당 251만 원씩 배분

- 대학별 지원금액은 일반대 최소 1,300만 원~최대 70.36억 원, 전문대 최소 2,300만 원~최대 28.32억 원

- 교육부는 전반적인 대학 혁신을 적극 지원하는 동시에, 위기에 처한 지방대학의 균형발전을 위한 추가적인 지원 대책을 마련·추진해 나갈 계획

- (지방대 지원 확대) 배분방식을 개선하여 지방대 지원 비율을 총 사업비의 65%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

- (유지충원율 점검) 수도권-지방대학 간 균형 있는 적정규모화 추진을 위해, 유지충원율 점검을 실시하며, 정원감축 권고 시 권역별 적정규모화 계획을 반영함으로써 지방대학을 우대할 예정

- (고등교육 마스터플랜) 향후 5년간의 ‘고등교육 발전 마스터플랜’을 연말까지 수립할 예정

<붙임> 적정규모화 지원금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