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10.5(수) 제9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농업혁신 및 농업경영안정 대책」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 (농업의 미래를 선도할 청년농 5천여 명(매년) 신규 육성) ▲’27년까지 청년농 3만명 육성을 목표로 전주기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 ▲영농정착지원금의 지원 대상을 2023년에 대폭 확대하고 단가도 인상, ▲농지 공급확대, ▲금융부담 완화, ▲경영 위기 시 1년간 상환 유예
- (시설원예·축사의 30% 스마트화) ▲스마트농업 확산 기반 구축, ▲스마트 시설로 전환, ▲간척지 등 유휴부지에 대규모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 ▲개방형 스마트농업 데이터·인공지능(AI) 플랫폼을 구축, ▲첨단 농기계를 개발·보급
- (농가 소득·경영·생활 안전망 확충) ▲농자재 가격 구입비용 지원, ▲전략작물직불제 도입, ▲임대형 우대상품 도입, ▲경영 이양직불제 개편
-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청년농 육성과 스마트농업 확산을 주요 농정과제로 관리해 나가면서 기존 농업인에 대한 소득·경영·생활 안정 장치도 확충해나가겠다고 밝혔음.
<별첨> 「농업혁신 및 농업경영안정 대책」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