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9월 통화 및 유동성
-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 2022.11.15 10p 보도자료
한국은행은 2022년 9월 통화 및 유동성을 11.15.(화) 발표하였다.
- (금융상품별) 정기예적금(전월대비 +30.5조원) 등이 증가한 반면,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11.7조원), 요구불예금(-11.0조원), MMF(-10.3조원) 등이 감소
- (경제주체별) 기업(+11.5조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8.6조원)가 증가하였으나, 기타금융기관(-13.7조원) 등이 감소
- (통화 및 유동성 지표 장기 추이)M2(평잔)는 2021년 12월(+13.2%) 이후 증가세 둔화 지속, M1(평잔)은 2008년 4월(-2.3%) 이후 처음으로 전년동월대비 감소 전환
- 우리나라의 통화 및 유동성 지표는 2002년까지는 통화정책의 중간목표로 활용되어 왔으나 물가안정목표제 도입과 함께 금리중심 통화정책 운영체계가 정착됨에 따라 현재는 정책운영의 정보변수로 활용되고 있음.
<붙임> 2022년 9월 통화 및 유동성 동향
<참고> 통화 및 유동성 지표 장기 추이
<부록> 통계 이용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