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국내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1년과 ‘22년 상반기 R&D 투자액과 ’22년 R&D 투자액 전망을 11.21.(월) 발표하였다.
- 산업부는 KIAT와 함께 매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공시 상장기업 및 기타외감법인의 개별 감사보고서 및 반기보고서를 분석하여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현황에 대한 기초통계를구축하기 위한 「기업 R&D 스코어 보드」를 발표하고 있음.
- 국내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 R&D 투자액은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하여 ’21년 60조원을 돌파, 전년대비 R&D 투자액 증가율도 ‘20년 3.4%에서 ’21년 8.9%로 증가하여 지난 ‘13년 10.5%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함.
- ’22년 상반기 1,000대 기업의 R&D투자는 22.7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조원(12.9%) 증가하였으며, 지난 3년간 1,000대 기업의 상반기 R&D 투자비중을 고려하여 산출한 ‘22년 R&D 투자액의 경우 전년 대비 9.4% 증가(+5.7조원)한66.1조원으로 추정되어, 증가추세가 보다 강화될 것으로 전망함.
-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21년 상위 1,000대 기업 R&D 투자액 52.9조원으로 전체의 87.6%를 차지하며 가장 높았으며,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3.5조원),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1.5조원) 순으로 R&D 투자가 많았음.
- 황수성 산업혁신성장실장은 “앞으로도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R&D 투자에 임할 수 있도록 목표중심· 도전적 R&D 확대, 사업화 촉진, 규제 개선 등 민간과 성과 중심의 산업기술 R&D 혁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함.
<참고>
1. 2021년 R&D 투자 1,000대 기업 현황 인포그래픽
2. 최근 5년간 R&D 투자 1,000대 기업 현황 주요내용
3. 최근 5년간 R&D 투자 1,000대 기업 업종별 R&D투자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