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159개 백신기업 국내 매출 3조 4,178억원, 수출 6,287억원 달성
- 보건복지부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 생산지원팀 2022.12.06 7p 보도자료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12.6(화) 백신산업의 국내 매출, 수출, 고용 및 투자 현황 등을 포함한「2021년 국내 백신산업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 이번 실태조사를 위해 바이오·IT·화학·기계 등 각계 전문가들은 그간 여러 차례 논의를 통해 백신산업 분류체계를 마련하고 전수조사 방식으로 159개 업체를 최종 선정하여 실태조사를 진행하였음.
- 실태조사 결과, 국내 백신기업 159개사는 백신 완제품 29.6%, 백신 원부자재 32.1%, 백신 장비 15.1%, 백신 관련 서비스 35.8%의 비율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 (입지) 서울(53개사, 33.3%), 경기(51개사, 32.1%), (규모) 대기업 3.1%(5개사), 중견기업 26.4%(42개사), 중소기업 70.4%(112개사), (국내매출) 총 3조 4,178억 원, (수출) 총 6,287억 원, (투자) 연구개발비 2,140억 원, 시설투자비 1,174억 원 등 총 3,314억 원, (고용) 1만758명
- (애로사항) 연구개발·사업화 분야 모두 자금 부족, 전문인력부족, 시장동향 등 관련 정보 부족, 규제와 관련해서는 식약처 인·허가
- 정부는 통계청 협의를 거쳐 국내 백신산업 실태조사를 내년부터 국가통계로 승인을 받기 위한 검토를 시작할 계획
-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민관합동 백신산업 혁신포럼」을 공동 개최하여 주요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최근 국내외 업계 동향과 통계 자료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음.
- 정부는 백신 산업이 향후 바이오산업을 선도하는 ▲기업 규모를 키우고(Scale-Up), ▲성장 주기에 맞춘 범부처 지원을 적시에 제공하며, ▲단절 없는 부처별 맞춤형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하겠다는 방침
<붙임>
1. 민관 합동 백신산업 혁신 포럼 행사 개요
2. 백신산업 분류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