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모바일 대메뉴명

KDI 경제정보센터

KDI 경제정보센터의 다양한
경제정책정보를 만나 보세요.

최신자료

2021년 우리나라「기술무역통계」 결과 발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과평가정책국 과학기술정보분석과 2022.12.26 9p 정책해설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리나라의 「2021년도 기술무역통계」 결과를 12.23(금) 발표하였다.

- ’21년도 우리나라의 기술무역규모는 역대 최대 규모인 336억 1천 3백만 달러로 전년대비 37억 3천 5백만 달러(12.5%↑) 증가하였으며, 기술무역수지비는 전년 대비 0.05p 증가한 0.80으로 분석되었음.

- 전기·전자 산업의 기술무역규모는 121억 2천 6백만 달러로 전년도 1위였던 정보·통신 산업을 추월하였으며, 정보·통신, 화학, 기계 산업의 기술무역수지가 전년도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되었음.

- 기관 유형별 2021년 기술무역 현황을 분석해 보면, 중소기업의 경우 기술수출과 기술도입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 국가별로 보면, 우리나라의 최대 기술수출 및 기술도입 대상국은 미국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무역수지 적자규모도 전체국가 중 미국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됨.

- 2021년 우리나라의 기술무역은 기술무역 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기술무역수지가 개선되는 등 양적·질적으로 성장한 모습을 보였음.

- 이러한 동향은 국내 상품무역 규모가 전년 대비 28.5% 증가하고,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또한 저작권을 제외한 산업재산권 등에서 수출이 39.4%, 수입이 6.1% 증가하는 등 다른 수출입 통계와도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 기술무역통계 보고서는 12월 26일(월)부터 과기정통부 누리집(www.msit.go.kr)에서, 통계는 국가통계포털(www.kosis.kr)과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에서 확인할 수 있음.

<붙임>
1. 우리나라의 기술무역 추이(1997∼2021년)
2. 2021년도 기술무역 세부 현황
KDI 경제정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