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통위,「2022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결과 발표
- 방송통신위원회 2022.12.27 19p 정책해설자료
방송통신위원회는 12.27(화) 「2022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 (스마트 기기 보유율 증가 지속) 스마트폰 보유율은 93.4%로 최근 3년간 비슷한 수준이며, 연령별로는 60대의 스마트폰 보유율이 93.8%로 증가하여 스마트 기기 이용이 고령층으로 확대되는 양상
- (일상생활 필수매체는 스마트폰) 일상생활 필수매체로 인식하는 비율은 스마트폰이 70.0%, TV는 27.5%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이며, 그 밖에 데스크톱·노트북, 신문, 라디오 등을 필수매체로 인식하는 비율은 2% 미만으로 나타남.
- (매체 이용 빈도) 주 5일 이상 스마트폰 이용률은 90.1%이며, TV 이용률은75.5%로 전년(73.4%) 대비 소폭 증가하였음. 연령이 높을수록 TV 이용 빈도가 높았으며, 70세 이상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50.7%로 다른 연령대 이용률의 절반 수준으로 나타남.
- (OTT 이용 증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이용률은 72.0%로 전년(69.5%) 대비 2.5%p 증가했는데, 연령별로는 20대 OTT 이용률이 95.9%로 가장 높고, 10대와 30대는 90%대의 이용률을 보였으며, 40대부터 연령대가 높을수록 OTT 이용률이 낮은 결과를 보임.
- (1인 가구 미디어 이용) 1인 가구의 TV 보유율은 90.4%로 전체 가구(95.4%)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전체가구와의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1인 가구의 유료방송 가입률 역시 85.3%로 전체가구(92.7%) 보다 낮게 나타남.
- 방통위는 이번 ‘2022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보고서를 방송통계포털(mediastat.or.kr)의 통계자료 - 보고서(메뉴명)를 통해 공개하고, 원시 데이터는통계자료 - 통계원시자료(메뉴명)에서 국민 누구나 편리하게 내려받아 활용할수 있도록 제공할 예정
<붙임> 2022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결과(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