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산업 성장세 유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가 방송시장에 미치는 영향 확대
- 방송통신위원회 2022.12.28 17p 정책해설자료
방송통신위원회는 12.28(수) 「2022년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결과를 발표했다.
- 2021년도 방송시장에 대한 경쟁상황을 유료방송시장, 방송채널거래시장, 방송프로그램거래시장, 방송광고시장으로 단위시장을 획정하여 경쟁상황을 평가
- (유료방송시장) 유료방송가입자는 3,576만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하였는데, IPTV는 가입자 수가 1,989만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한 반면, SO 가입자 수는 1,288만으로 감소 추세
- (방송채널거래시장) 전체 채널제공 매출액은 1조 3,008억 원으로 전년(1조 2,099억 원) 대비 7.5% 증가한 가운데, PP의 채널제공 매출액은 전년 대비 10.2% 증가한 8,928억 원으로 증가세( ’19년 7,539억 원→’20년 8,100억 원→’21년8,928억 원 )를 유지하였으며, 지상파방송 채널 재송신 매출액도 전년 대비 2.0% 증가한 4,079억 원으로 소폭 증가세를 지속
- (방송프로그램거래시장) 전체 방송사업자의 외주제작비 총규모는 9,00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 증가하였으며, CJ계열PP와 종편계열PP가 각각 30.8%, 15.4% 증가
- (방송광고시장) 그간의 하락세에서 상승 반전하여 전년(2조 5,015억 원) 대비 19.6% 증가한 2조 9,910억 원으로 조사되었고, 협찬매출액은 전년(7,208억 원) 대비 16.2% 증가한 8,377억 원으로 상승세
- (OTT의 영향) OTT 사업자 매출, 이용률, 유료 이용자 비율 등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여, 유료방송시장을 포함한 방송시장 전반에 대한 영향이 확대되고 있음.
① 유료방송시장의 경우 가입자 및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나 성장률 둔화 및 VOD 매출 감소 등 OTT 영향에 따른 경쟁 압력이 증가
② 방송채널거래시장은 OTT로 인해 채널 공급자인 PP의 협상력 변화 예측. 인기 방송채널의 협상력은 높아질 수 있지만, 비오리지널 콘텐츠 중심의 중소 방송채널의 협상력은 더욱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 제기됨.
③ 방송프로그램거래시장에서는 OTT의 오리지널 콘텐츠 경쟁 확대에 따라프로그램 수요가 증가하면서 드라마 제작사 등 콘텐츠 제공사업자의 협상력이 강화
④ 방송광고시장에서는 글로벌 OTT 사업자를 필두로 한 광고시장 진출이장기적으로 국내 OTT 사업자로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
<붙임> 단위시장별 경쟁상황평가 결과(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