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 대비 2020년 화학물질 취급업체 19.9% 증가
- 환경부 환경보건국 화학물질정책과 2023.01.18 13p 보도자료
환경부는 ‘제4차(2020년)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를 1.16.(월) 공개하였다.
- ‘제4차(2020년)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 화학물질 취급업체 3만 7,107개 사업장에서 3만 1,600종의 화학물질 6억 8,680만 톤이 유통되었음.
- 이는 ’18년 제3차 조사 대비, 취급업체 수는 19.9%, 화학물질 종류는 7.1%, 유통량은 7.6%가 각각 증가한 수치이며, 유통량이 7.6%(4,861만 톤) 증가한 것은 제조·수입량 증가와 통계조사대상의 확대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남.
- 취급형태별로는 ’18년 대비 제조량 8.2%(3,489만 톤), 수입량 5.6%(1,859만 톤), 수출량 4.1%(487만 톤)이 각각 증가힘.
- 지역별로는 대규모 석유정제 및 화학업종이 입지한 전남(29.6%), 울산(24.4%), 충남(18.8%) 등 상위 3개 지역에서 전체 제조·수입량의72.8%인 5억 9,089만 톤을 차지함.
- 산단별로는 여수 산단(19.5%), 울산·미포 산단(13.7%), 온산 산단(10.4%), 광양(9.1%), 대산(8.6%) 순으로 제조·수입량 상위 순위를 차지함.
- 업종별로는 코크스·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이 전체 제조·수입량의 38.8%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27.6%), 1차 금속 제조업(19.6%)의 비중이 높았음.
<붙임>
1. 화학물질 통계조사 개요
2. 연도별·형태별 유통 현황
3. 제조·수입·수출 현황
4. 질의응답
5. 전문용어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