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민간고용서비스 시장성장 견인을 위한 고용행정데이터 전면 개방 추진
-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 고용서비스기반과 2023.01.26 6p 보도자료
고용노동부는 1.26.(목) 제2차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에서 ‘고용행정데이터 개방 확대방안’을 발표하였다.
- (개방 방향) 고용행정데이터의 민간개방 확대를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등 노동시장 현안에 대한 정책연구를 활성화하고, 전직지원서비스·직업훈련 프로그램 개발 등 민간고용서비스 시장 확대 도모
- (단계적 개방 확대)
① 1단계: 고용행정통계 기초데이터셋 25종 개방 (’23년 상반기)
② 2단계: 고용보험 표본데이터셋 3종 개방 (’23년 하반기)
③ 3단계: 미공개 데이터의 추가 개방 (’24년)
- (개방 인프라 정비) ▲고용행정데이터 정책심의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신설, ▲데이터 제공 절차를 담은 훈령 제정, ▲이터분석 경진대회·아이디어 공모전 등 데이터 이용 촉진, ▲데이터 개방을 담당하는 인력 확충 및 전담부서 설치 검토
- 이번 데이터 개방을 통해 기존에는 통계형식으로 광역시도, 산업·직종 등 대분류 수준에서 알 수 있던 노동시장정보를 기초자치단체, 산업 소분류 등 세분화된 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될 전망
<붙임>
1. 고용행정데이터 개방 확대방안 추진 일정
2.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 제2차 회의 계획(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