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정보센터

ENG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전부처 수출역량 결집 및 100조원 민간투자 밀착지원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 산업정책관 산업정책과 2023.02.03 21p
산업통상자원부는 2.3.(금)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제조업 업종별 수출·투자 지원방안」을 발표하였다.

- (2023년 수출·투자 주요정책)
① (6,800억불 수출 달성으로 수출 플러스 실현) ▲전부처의 ‘영업사원화’로 UAE 정상외교 성과 확산 ▲수출 3대 애로 해소 및 수출지원 예산 상반기 집중 지원 ▲맞춤형 지원을 통해 수출 품목·시장 다변화 ▲범정부 차원의 수출지원역량 결집
② (설비·R&D·외국인투자등 3대 투자 활성화) ▲설비투자: 100조원 민간 투자계획의 신속이행 밀착지원 ▲R&D투자: 전략적 R&D 투자(’23년 5.6조원) 및 사업화 촉진 ▲외국인투자: 첨단산업 중심으로 300억불 이상 유치

- (업종별 대응방안)
▲[반도체] 반도체 생태계 전반에 대한 지원 강화 및 투자 활성화 지원 ▲[배터리] 국내 투자환경 조성 및 투자애로 해소로 설비투자 확대 및 수출 촉진 ▲[자동차] 수출확대를 위한 통상·선복문제 및 투자 애로 해소 ▲[조선] 인력난 해소, 금융지원 등 정책역량 집중, 민간투자 촉진 R&D 추진 등

- 산업통상자원부는 향후 ▲수출·투자 촉진을 위한 전방위 애로해소 시스템 구축 및 실적점검 강화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찾아가는 ‘현장 산업부’ 추진 ▲‘산업대전환’을 통한 중장기적 수출·투자 성장 도모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임.

<별첨>
1. 제조업 업종별 수출·투자 지원방안
2. 산업부 장관 모두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