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국민시간이전계정 통계를 개발하고 ‘무급 가사노동 평가액의 세대 간 배분 심층 분석’ 결과를 6.27.(화) 발표하였다.
- 국민시간이전계정은 국민계정(GDP)에 포함되지 않는 무급 가사노동 평가액의 생산, 소비, 이전에 대한 연령별 분포를 보여주는 통계임.
- (가사노동 생애주기적자) 유년층(0~14세) 131.6조원 적자, 노동연령층(15~64세)과 노년층(65세 이상)은 128.1조원, 3.5조원 흑자임.
- (가사노동 소비) 유년층 131.6조원, 노동연령층 281.9조원, 노년층 77.4조원으로 나타남.
- (가사노동 생산) 노동연령층 410조원, 노년층 80.9조원이며, 유년층의 가사노동 생산은 없음.
- (가사노동 이전) 유년층은 131.6조원 적자로, 노동연령층(128.1조원)과, 노년층(3.5조원)의 생산이 순유입됨.
- 1인당 가사노동 생애주기적자는 0세에서 가장 많음(3,638만원).
<붙임> 2019년 국민시간이전계정 개발 결과(무급 가사노동 평가액의 세대 간 배분 심층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