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정보센터

ENG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
통계청
2023.07.11 26p
통계청은 7.11.(화) 저출산·고령화 인구구조 대응을 위한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를 분석·발표하였다.

- 이번 통계는 범정부적으로 경제활동인구 확충을 위한 여성과 외국인 역할 제고 정책 추진에 따라, 일·가정 양립과 외국인 현황에 따른 사회 변화를 조망하기 위해 제공됨.

- (인구) ’23년, 5천 2백만 명 → ’41년 4천만 명대 진입 → ’70년 3천 8백만 명으로 감소 전망

- (합계출산율) ’22년 0.78명으로 ’12년 1.30명 대비 0.52명 감소

- (가구유형) ’21년 친족가구 64.4%, 1인가구 33.4%, 비친족가구 2.2%, 1인가구와 비친족가구 비율 증가세

- (고용률) OECD 회원국 연령별 여자 고용률은 ∩모양, 연령별 여자 고용률은 ’12년 대비 상승했으나 M모양 유지

- (가사분담)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견해 64.7%,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는 실태는 남편 21.3%, 아내 20.5%임

- (외국인비율) 총인구대비 외국인 비율 ’23년 3.2% → ’40년 4.3%로 증가 전망

- (외국인 경제활동) ’22년 외국인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94.0%, 광업·제조업이 43.9%로 가장 많음.

- (외국인 수용도) ’22년 5.3점(10점기준)이며, 직장동료로 수용 비율(42.3%)이 가장 많음.

- 통계청은 인구구조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정책을 지원하고자 저출산 통계지표 체계 구축하여 ’24년에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힘.

<붙임>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