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2.7.(수) 사회이동성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사회이동성 작업반(TF)」1차 회의를 주재하였다.
- 동 작업반은 관계부처와 연구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사회이동성 개선’을 위한 핵심 정책과제를 발굴하는 등 사회이동성 개선방안을 보다 속도감 있게 마련하기 위해 출범하였음.
- 기획재정부는 1.4(목)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역동경제 구현’ 이행안을 금년 상반기 중 마련하겠다는 계획 하에, 1.12(금) 경제부총리 주재 「역동경제 구현을 위한 연구기관 토론회」, 1.18(목) 「사회이동성 전문가 간담회」 등을 통해 사회이동성 개선에 대한 각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바 있음.
- 이날 1차 회의에서는 한국의 「사회이동성 현황 분석(보사연)」과 「교육·직업 이동성 논의 현황(KDI)」 등 발제와 함께, 관계부처 및 연구기관과 우리 경제의 역동성 제고를 위해 사회이동성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였음.
- 앞으로 관계부처 합동「사회이동성 작업반(TF)」을 통해 범부처 차원에서 핵심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구체화할 계획이며, 교육·일자리 등 핵심 과제를 담은 사회이동성 개선방안을 상반기 중 마련·발표할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