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는 12.10.(화) 국제성인역량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국제성인역량조사는 성인(16~65세)의 언어능력, 수리력, 적응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핵심 정보처리스킬 수준을 국가 간 비교하고, 일상및 직장생활에서의 역량 활용 수준 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이며, 10년 주기로 실시됨.
- 우리나라 16~65세 성인의 언어능력 평균 점수는 249점, 수리력은 253점, 적응적 문제해결력은 238점으로 세 영역 모두 OECD 평균보다 낮았음.
- 분석 대상을 16~24세로 한정할 경우, 언어능력(276점)과 수리력(273점) 평균점수가 OECD 평균(언어능력 273점, 수리력 272점) 수준이며, 전체적으로연령이 낮을수록 역량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음.
- 불일치 조사 결과, 우리나라 16-65세 성인 중 실제 학력 대비 일자리에서 요구하는 학력 수준이 적정한 경우는 65.0%로 나타으며, 실제학력 수준이 일자리에서 요구하는 학력 수준보다 높은 경우는 31.3%, 낮은 경우는 3.7%로 나타났음.
- 스킬불일치 조사 결과, 실제 스킬 대비 업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능력이 적정한 경우는 65.1%로 나타났으며, 실제 스킬수준이 일자리에서 요구하는 스킬 수준보다 높은 경우는 23.9%, 낮은 경우은 약 11.0%로 나타났음.
<붙임>
1.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개요
2.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주요 조사 영역
3.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주요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