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통근 근로자 이동 특성 분석으로 근로자 관련 정책수립 지원
통계청
2024.12.20 31p
통계청은 근로자의 통근 특성에 관한 실험적통계를 작성하고 그 결과를 12.20.(금) 공표하였다고 밝혔다.

- 분석 결과, ’24년 6월 기준의 출·퇴근 근로자의 평균 출근 시각은 8시 10분이고, 평균 퇴근 시각은 18시 18분이며, 남성은 여성보다 21분 먼저 출근하고, 연령이 높을수록 일찍 출근하고 일찍 퇴근하는 경향을 보였음.

- 출·퇴근을 위해 평균적으로 73.9분 동안 17.3㎞를 이동하였으며, 소요시간과 이동거리 모두 수도권이 가장 길었음.

- 근무지에서 체류하는 시간은 평균 9.1시간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36분 오래 체류하였으며, 30대 근로자의 체류시간이 9.4시간으로 가장 길고 연령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음.

- 가구 내 미취학자녀가 있는 통근 근로자가 없는 통근 근로자보다, 다인가구 통근 근로자가 1인가구 통근 근로자보다, 가구주가 가구원보다 출퇴근 소요시간과 이동거리가 더 길게 나타났음.

<붙임> 통계청-통신3사 데이터 가명결합 기반 통근 근로자 이동 특성 분석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