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12.26.(목) 서울석탄회관에서 국내 정유·항공업계, 석유관리원, 교통안전공단,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20여 개 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민관합동 「SAF 혼합의무제도 설계TF」 제2차 전체 회의를 진행하였다.
- (SAF 혼합의무제도 국내 도입 방안) 우선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유럽연합(EU), 영국, 일본 등 주요국의 SAF 혼합의무제도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SAF 의무화 대상·시기·혼합비율, 법제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음.
- (국내 SAF 설비투자 유치방안) 석유협회에서는 글로벌 생산·투자 현황, 원료 수급 및 가격 동향 등 SAF 공급 측면에서 주요 이슈를 진단하고, 생산세액공제, 보조금 등 인센티브 강화 필요성을 강조하였음.
- (SAF 사용 항공사 인센티브 확대 방안) 인천국제공항공사는 SAF 사용촉진을 위한 세계 국제공항의 지원사례 등을 분석하고, 인천공항에서 SAF를 급유한 항공사를 대상으로 공항시설사용료 감면 검토 방안 등을 제시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