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법령자료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 발표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 출산정책과
2025.02.05 5p
보건복지부는「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를 2.6.(목) 발표하였다고 밝혔다.

- 산후조리 실태조사는 「모자보건법」제15조의21에 따라 산후조리분야 정책 수립에 필요한 통계자료 구축을 위해 임산부ㆍ신생아 대상으로 건강 및 안전 관련 사항을 조사하는 것으로,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는 2018년 처음 실시한 후 세 번째로 진행된 실태조사임.

① 산후조리 일반 현황 : (산후조리 장소) 장소별 이용률은 ‘산후조리원’(85.5%), ‘본인집’(84.2%), ‘친정’(11.2%), ‘시가’(1.0%) 순이며, (산후조리 비용) 산후조리 기간(30.7일) 중 산후조리원에서 평균 286.5만 원, 집(본인·친정·시가)에서 평균 125.5만 원을 지출하는 것임.

② 산모의 건강상태 및 산후조리 인식 : (건강상태인식) 본인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좋음+매우좋음)하는 비율은 임신중(49.4%)이 가장 높고, 산후조리 기간(30.8%)이 가장 낮으며, (산후조리 동안 불편했던 증상) 산모들은 수면부족을 67.5%로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상처부위 통증(41.0%), 유두통증(35.4%), 우울감(20.0%)순임.

③ 산모 희망 산후조리 필요 정부 정책 :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해 ’산후조리 경비지원(60.1%)‘,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확대(37.4%)‘, ’산모의 출산휴가 기간 확대(25.9%)‘, ’배우자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22.9%)‘ 순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