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농축산물 효율적 수급 관리 정착을 위한 현장간담회 개최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실 유통소비정책관 유통정책과
2025.02.12 9p
농림축산식품부는 2.11.(화) 오후 서울 양재동 에이티(aT)센터에서 박범수 농식품부 차관 주재로 “농축산물 효율적수급 관리 구축 방안” 관련 릴레이 현장간담회를 개최하였다.

- 농식품부는 양곡, 축산물, 원예농산물의 효율적인 수급 관리를 위한 재배면적조정, 기후변화 대응 체계 구축 등 2025년 주요 업무추진계획을 생산자 등현장 이해관계자에게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함.

<(식량) 중장기 쌀 수급 안정 및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① 2025년부터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시행함.
② 쌀 신규 수요 창출과 고품질 품종 중심으로의 생산 구조 개편에도 힘쓸 예정임.
③ 전문생산단지(50~100㏊)를 지정·운영하고, 단지와 연계하여 RPC 중심의 생산이력제도 시범적으로 추진함.
④산지 유통산업 체질 개선을 위해 시장 거래질서 확립과 RPC 수익구조 개편을 추진함.

<(축산) 축산물 수급 관리 및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① 농가에1조원 규모 사료구매자금을 저리(1.8%)로 지원하고, 한·육우 농가는 2025년 만기가 도래하는 사료구매자금에 대해 1년 상환유예함.
② 단기 비육 한우가 자연스럽게 시장에서 생산· 유통될 수 있도록 함.
③ 소비자 혼선을 방지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사육기간을 단축한 한우에 대해 현행과 차별화된 등급 체계·표시 방식을 사용함.
④ 축산업 미래산업화를 위해 축산업을 스마트화하고, 환경친화적으로 개선함.

<(원예) 기후변화 대응 원예농산물 생산 및 수급 안정 방안>
① 생산 및 공급 변동성이 확대된 원예농산물은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한 농업 생산 전(全) 단계 밸류체인 관리 강화를 통해 생산·공급 안정성을 제고할 계획임.
② 생산단계에서는 이상기후에 대한 적응 및 예방에 중점을 두고 생산 체계를 개편할 계획임.
③ 생산 이후 단계에서는 봄배추 비축 물량을 2030년까지 3배 확대하고, 비축 기간 연장을 위한 저장기술(CA) 실증도 추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