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3.14.(금) 농번기를 맞아 겨우내 사용하지 않은 농기계를 가동할 경우 사전에 충분히 점검하고 정비할 것을 요청했다.
- 최근 3년간(2021~2023) 발생한 농기계 사고는 총 3,439건임.
- 특히, 3월은 전월 대비 사고 건수가 크게 늘어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 주요 사고 원인으로는 회전체 작업 중 발생하는 끼임(35%)이 가장 많았고, 농기계가 뒤집히거나 넘어지는 전복·전도(25%), 도로 교통사고(25%), 낙상·추락(8%)이 그 뒤를 이음.
- 농기계 사고를 예방하려면 다음 사항에 주의해야 함.
▲ 농기계를 이용하기 전에 헬멧, 장갑, 안전화, 방진 마스크와 같은 안전용품을 착용해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한다.
▲ 회전체 작업을 할 경우 소매나 옷자락 등이 농기계에 끼이지 않도록 조심하고, 특히 회전체에 신체를 가까이하지 않는다.
▲ 농기계로 좁은 농로, 경사로를 이동할 경우 진입 전에 속도를 줄인다.
▲ 농기계로 도로를 이동할 경우 교통법규를 반드시 지킨다.
<참고> 농기계 안전 국민행동요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