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운세를 궁금해 하고 복(福)을 바라는 마음은 시대와 국경을 가리지 않고 비슷한가 보다. 트위터를 비롯한 SNS에서도 새해에 대한 기대와 희망이 재미있는 형태로 드러났다. 2013년 첫 한 주간 SNS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를 살펴보니, 이 중 ‘할머니’와 ‘손금’이라는 단어의 순위 상승이 눈에 띈다. 새해를 맞아 용하다는 점쟁이 할머니에게 손금을 봤다는 이야기일까. 두 단어에 숨겨져 있는 건 조금 더 엉뚱한 상상력이다.
한 트위터리안이 100억원을 벌었다는 부자 할머니의 손금 사진을 올리면서 "이 할머니 손금을 리트윗(Retweet)하면 금전운이 좋아진다"고 트윗을 게시했다. 이 할머니 손금 사진을 리트윗만 해도 효과가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앞다퉈 해당 사진을 리트윗하기 시작했고, 일부에서는 손금 사진을 리트윗한 덕에 생각지도 않았던 선물을 받았다거나, 용돈이 인상됐다는 등의 증언이 쏟아졌다. 재치 있는 사람들이 빌 게이츠나 워런 버핏 등 세계적인 부호의 손바닥을 확대한 사진을 올리는가 하면 10대 트위터리안들은 저마다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의 손금 사진을 올리면서 새해를 시작하는 크고 작은 소원을 빌었다.
결국 손금이라는 것도 손 주인의 운명에 영향을 주는 것 일진대, 남의 손금 사진을 게시했다고 그 운이 자신에게 옮겨올 리 만무하다. 심지어 부적으로 만들어 지니고 있거나 장롱에 숨겨놓는 것도 아니고 디지털 이미지를 웹에 게시하는 것만으로 효과를 볼 수 있다니, 이것이야말로 초자연적인 믿음과 IT기술의 절묘한 만남이라 하겠다. 효과야 어찌 되었든 ‘할머니’와 ‘손금’이라는 단어는 1월 첫 주에만 각각 2만여 회, 1만8천여 회이나 등장하면서 많은 트위터리안들 사이에서 공유됐다.
물론 이전에도 이른바 'SNS 부적'들이 유행했다. 실제로는 한 장의 이미지에 불과하지만 '솔로 탈출', '소원 성취'를 비롯해 다양한 소망을 담은 부적이 된다. 이것이 SNS를 타고 공유되면서 미소를 자아내는 개그 소재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사뭇 진지한 소망을 담아내기도 한다. SNS라는 새로운 공간이 만들어낸 재미있는 문화인 셈이다.
사실 확인이 불가능한 믿음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이런 SNS 부적들을 괴담의 하나로 치부하는 시선도 있다. 트위터를 비롯한 SNS에서는 갖가지 괴담이 쏟아진다. 예를 들면 싸이의 '강남스타일' 유투브 영상 조회 수가 10억 건을 돌파하는 지난해 12월 21일에 지구 종말이 온다는 설도 한동안 타임라인에 오르내렸다. 주로 10대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퍼지는 이런 괴담들은 황당한 해프닝 수준으로 그치기도 하지만 너무 심한 경우에는 피해를 입는 사람들도 있다.
이슈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창의성이 더해지면서 새로운 가치를 담은 콘텐츠들이 재생산되고 발전하는 집단지성의 힘이 더해진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도 있다. '할머니 손금'의 사례만 보더라도 처음에는 한 사람의 장난스러운 시도였을지 모르지만 확산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들이 더해지면서 새해 소망을 공유하는 재미있는 문화현상이 됐다. 한 사람 혹은 소수의 창의적이고 재미있는 아이디어가 가장 효과적으로 공유, 확산되고 여기에 집단지성의 힘이 더해지면서 사회에 긍정적인 가치를 불어넣을 수 있다는 점이야말로 SNS만이 가진 가장 큰 가능성이다. 하지만 괴담이나 어뷰징(Abusing, 검색어를 이용한 클릭수 조작 행위)등의 부작용을 경계하기 위해 '악플 방지'나 '건전한 인터넷 문화 창달' 등에 힘을 쏟는 최근의 정책적 노력들은 자칫 사용자들의 자발적 참여와 창의적인 표현을 가로막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