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2022년 세계경제 전망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세계경제가 올해는 백신 보급 확대, 경기부양책 지속 등에 힘입어 반등했다. 주요국 경제상황 점검 및 전망을 통해 세계경제가 내년에도 회복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분석했다. ‘위드 코로나’와 ‘포스트 코로나’의 교차점에 선 세계경제 2021년 글로벌경제는 예상보다 빠르게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났다. 세계경제 성장률은 2020년 마이너스 3%대에서 2021년에는 플러스 5%대 후반으로 큰 폭 반등한 것으로 IMF는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경기개선은 백신 보급 진전, 재정확대... 정유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2021년 12월호 자산가격 거품과 대내외 불균형 해소가 미국경제 회복의 관건 2021년 미국경제는 매우 빠른 속도로 회복됐다. 2022년에도 경기 확장세가 이어질 것이나, 자산가격 거품 붕괴 가능성과 대내외 불균형 확대 등 하방 리스크도 많다.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미국경제는 마이너스 3.4% 성장했다. 그러나 202...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2021년 12월호 투자 위축, 부동산 리스크 극복하며 구조개혁도 추진해야 하는 중국 2021년 중국경제는 기저효과에 힘입어 1분기에 18.3%라는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했지만, 연 중반부터 발생한 코로나19 재확산, 홍수, 전력난, 투자 저조 등의 영향으로 3분기 경제성장률은 다소 둔화되며 4.9%를 기록했다. 기저효과를 제거한 3분기... 문지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경제통상팀 부연구위원2021년 12월호 낙관적 전망 우세한 유럽경제, 코로나19 상황은 주시할 필요 유럽경제는 2020년 6.5%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선진 경제권 중 코로나19로 가장 큰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2021년에는 다른 선진국에 뒤지지 않는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2년에도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OECD는 지난 9월... 채희율 경기대 경제학부 교수2021년 12월호 2%대의 완만한 성장세 예상되는 일본경제 2021년 일본경제는 코로나19 추세에 따라 성장세가 등락을 거듭하는 모습을 보였다. 일본의 실질 GDP 성장률은 2020년 4분기에 전분기 대비 연율 기준으로 11.8%를 기록한 후 2021년 1분기에는 4.1%에 그치고 2분기에는 1.5%로 반등하다... 이지평 한국외국어대 융합일본지역학부 특임강의교수2021년 12월호 아세안, 회복에 속도 낼 전망이나 팬데믹 재확산 등 위협요인 상존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아세안경제는 2020년에 심각한 후퇴를 경험한 이후 2021년에는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세계경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딘 회복력을 보이고 있다. 2022년에는 팬데믹 이전 수준의 성장세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경제... 민혁기 산업연구원 통상정책실장2021년 12월호 과월호 총 2,833 건 연도선택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09년 2008년 2007년 2006년 2005년 2004년 2003년 2002년 2001년 2000년 1999년 1998년 1997년 1996년 1995년 1994년 1993년 1992년 1991년 1990년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100개씩 보기 디지털 기술로 세상을 연결한다 홍기영 매일경제신문 월간국장2021년 11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홍기영.pdf 플랫폼 비즈니스, 생산자와 소비자의 상호작용 극대화하는 모델 정상희 SAP Korea 상무2021년 11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정상희.pdf 사전·사후 규제 담은 ‘온라인플랫폼 공정화법’ 장품 법무법인 지평 파트너 변호사2021년 11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장품.pdf 빅테크 규율 강화하는 미국과 EU 강지원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2021년 11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강지원.pdf 플랫폼 노동자의 ‘근로자성’ 인정하는 노력 필요 권오성 성신여대 법과대학 교수2021년 11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권오성.pdf 플랫폼 규제, 잘못은 지적하되 경제성에 입각한 합리적 판단 필요 유병준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2021년 11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유병준.pdf 코로나19 극복과 미래대비에 604조4천억 원 쓴다 강병중 기획재정부 예산관리과장2021년 10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강병중.pdf 디지털 대전환과 첨단전략기술 확보에 주력 도우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담당관실 재정팀장2021년 10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도우동.pdf 비대면 사회에 주목받는 농촌, 살고 싶은 공간으로 재조성한다 박선우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재정담당관2021년 10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박선우.pdf 기초생활 보장 넓고 두텁게···저출산 고령사회에도 적극 대응 김일열 보건복지부 재정운용담당관2021년 10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김일열.pdf 탄소중립 이행기반 구축과 국민생활 밀착형 환경개선에 집중 이승환 환경부 기획재정담당관2021년 10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이승환.pdf 청년 중심 빠르고 강한 고용회복 지원···고용안전망은 더 촘촘히 박종환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담당관2021년 10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박종환.pdf SOC 투자 지속 확대 속 주거안전망 구축도 강화 길병우 국토교통부 재정담당관2021년 10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길병우.pdf 어촌 소멸과 해양을 둘러싼 환경 이슈 대응에 중점 투자 정도현 해양수산부 기획재정담당관2021년 10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정도현.pdf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하고, 글로벌 혁신 벤처기업 육성한다 김봉덕 중소벤처기업부 기획재정담당관2021년 10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김봉덕.pdf 인구변동은 다양한 사회요인과 장기간 상호작용하며 진행되는 구조적 문제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2021년 09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이상림.pdf 평균 출생아 수 4.53명에서 0.90명이 되기까지 신정아 『나라경제』 기자2021년 09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인포그래픽.pdf 지역소멸 등 ‘3대 인구리스크’ 선제 대응 위해 ‘4+α’ 전략 추진 나윤정 기획재정부 인구경제과장2021년 09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나윤정.pdf 성평등적·연령통합적·지역상생적인 사회제도가 대안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2021년 09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정재훈.pdf 지역소멸 위기를 기회로! 청년의 삶기술 통해 한산의 DNA 이어간다 김혜진 삶기술학교@한산캠퍼스 공동체장2021년 09월호 다운로드 닫기 특집-김혜진.pdf BACK PAGEPREVIOUS12345678910NEXTNEXT PAGE BACK PAGEPREVIOUS12345NEXTNEXT PAGE 경제e정표 경제e정표와 함께하는 주택공급 정책 경제e정표 경제e정표와 함께하는 저출생 정책 인포그래픽 경제e정표와 함께하는 철도산업정책 구독관리 구독신청 독자문의 eBook 보기 PDF 전체보기 2025년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09년 2008년 2007년 2006년 2005년 2004년 2003년 2002년 2001년 2000년 1999년 1998년 1997년 1996년 1995년 1994년 1993년 1992년 1991년 1990년 01월 02월 03월 04월 05월 06월 07월 08월 09월 10월 11월 12월 보기 과월호 보기 나라경제 인기 콘텐츠 세계는 지금 미중 무역전쟁 2라운드 시작, 2025년 중국경제는? 박준석 주홍콩총영사관 선임연구원 칼럼 - 시평 트럼프 정부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송준혁 한국외대 경제학부 교수 특집 동맹국으로 확대되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환율전쟁으로 확전될 조짐 한상춘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 국제금융 대기자 특집 AI산업 뒷받침하는 인프라 확충과 지원정책 본격 추진 이재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담당관 이슈 여행·온라인쇼핑도 활발하게! 액티브 시니어가 온다 『나라경제』 편집실 이슈 글로벌 에이지테크시장 2조7천억 달러… 한국은 걸음마 단계 이병문 매경헬스 편집국장 특집 왜 다시 경제성장인가? 남창우 KDI 연구부원장 많이 본 자료 발행물 전체 4월 22일은 지구의 날 달러에 투자하는 4가지 방법 미국 배당주로 제2의 월급통장 만들기 예금 vs 적금, 재테크 초보에게 어떤 저축이 유리할까? 터키에서 튀르키예로의 국명 변경, 국가브랜드 전략의 일환 엔캐리트레이드가 이루어지면 엔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지 않나요? 임금피크제, 사실은 이렇습니다 4월 22일은 지구의 날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로서 유급휴일에 해당 산불대응과 통상·AI 지원 등을 위한 12.2조원 규모 ‘필수 추경’ 편성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의 노력, ESG경영 달러에 투자하는 4가지 방법 2025년 4월 1일 ~ 4월 20일 수출입 현황 과기정통부, ‘누누티비 시즌2’에 강력 대응 의지 밝혀 나라경제/칼럼 청년층에 불리한 주택청약제도, 과감한 혁신 필요하다 e경제웹툰 [팀튜링의 디지털 오디세이] 제1화 UAM의 미래 소셜 빅데이터 분석/이머징이슈 [2024.04] 물가상승 e경제정보리뷰마이데이터 - 개념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