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기획 인구감소 너머를 생각하다 ⑦ 로컬의 재발견 수도권과의 격차, 지역소멸 위기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지역에서 경제를 일구고, 건강한 커뮤니티를 이뤄 동반성장을 도모하면서, 그렇게 생산한 가치를 다시 지역과 나누는 상생의 시도들이 있다. 이번 연중기획은 인구감소 시대의 균형발전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고, 지역에서 새로운 시도를 이어가고 있는 사례들을 통해 지역의 가능성을 발굴, 상생의 희망을 제시해 본다. 과도한 경쟁 피할 적정 수준의 인구밀도 찾는 ‘균형’ 필요한 때 우리나라는 1988년에 이미 2021년부터 내국인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고, 실제 그 예측대로 진행되고 있다. 다만 인구감소가 개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는 또 다른 이야기이기 때문에 인구감소가 사회 문제로 이어질 것이라는 데에 사회 구성... 고우림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연구교수2024년 07월호 성장할 기회 찾아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청년들 최슬기 『나라경제』 기자2024년 07월호 “지역사회와 공생하는 기업 역할로 지역 인구구조 변화에 적극 대응” 국내 10대 기업집단 중 유일하게 지방에 본사를 둔 포스코는 경북 포항, 전남 광양 등 지역 상생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사회발전을 위한 공존공생의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되겠다는 포스코를 찾아 지역 활성화를 위한 기업의 역할을 생각해 봤다.... 포스코 기업시민전략그룹2024년 07월호 “여수를 모든 창업가의 꿈의 무대로 만드는 것이 목표”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풍부한 해양 자원으로 유명한 전남 여수. 이곳에서 태어나 초중고를 다니고 대학 졸업 후에도 다시 돌아와 교사 생활을 했던 여수와의 하지수 대표는, 지방도 충분히 살기 좋은 곳임을 증명하기 위해 2019년 과감히 로컬 창업에 도전했다... 하지수 여수와 대표2024년 07월호 지역의 내생적 발전 잠재력 키우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지방소멸의 아우성이 커지고 있다. 수도권 집중 억제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정책을 수십 년간 추진했지만 그 효과가 신통치 않았다. 그간의 경험은 지역의 내생적 발전 잠재력을 키우지 못하면 여러 지원 정책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에 그치고 만다는 것을 보여... 유종일 KDI국제정책대학원장2024년 07월호 과월호 총 445 건 연도선택 2024년 2023년 2022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09년 2008년 2007년 2006년 2005년 2001년 2000년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100개씩 보기 달력상 나이 아닌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연령 고려한 노인정책을 정순둘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장2024년 06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정순둘.pdf 노인의 사회참여 위한 투자는 더 큰 사회적 비용 피하기 위한 보험 조준행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정책지원실장2024년 06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조준행.pdf 노인의 36.9%가 일하고 49.6%는 현재 삶에 만족 『나라경제』 편집실2024년 06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인포그래픽.pdf ‘장벽 없는 복지 서비스’로 지역사회 내 참여와 소통 활짝 김수형 인하대 정책대학원 노인학과 초빙교수2024년 06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김수형.pdf 68세의 무모했던 도전, 무한도전이 되었습니다 이정애 정애쿠키 대표2024년 06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이정애.pdf “망해도 한국이 망하는 거지 제가 망하는 건 아니지 않나요?” 강윤주 한국일보 정치부 기자2024년 05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강윤주.pdf 청년들의 일, 생활 그리고 꿈 『나라경제』 편집실2024년 05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인포그래픽.pdf 청년 당사자들이 제기하는 ‘바로 그’ 문제에 주목할 때 정세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2024년 05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정세정.pdf 일본 사회의 저출산과 젊은이들의 각자도생 김항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2024년 05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김항.pdf “다양한 청년을 하나로 뭉뚱그리는 세대 담론 경계해야” 김선기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연구원2024년 05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김선기.pdf 정부도 민간도 아낌없이 투자하는데 교육받을 아이들은 사라져 간다 김영철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2024년 04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김영철.pdf 학령인구 감소에도 늘어나는 사교육비, 저출산의 주원인으로 꼽혀 『나라경제』 편집실2024년 04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인포그래픽.pdf 루저를 만들지 않는 프랑스 교육 목수정 『칼리의 프랑스 학교 이야기』 저자2024년 04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목수정.pdf ‘숨겨진 아인슈타인’ 찾아내는 것이 국가의 역할 김현철 홍콩과기대 경제학과 교수2024년 04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김현철.pdf “학교는 학생들을 불러모은 이유를 설명할 수 있어야” 김희삼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획처장2024년 04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김희삼.pdf 젠더 질서 바뀌었어도 모성패널티는 여전해 송다영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2024년 03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송다영.pdf 일·가정 양립정책 실사용 비중 극히 적어 김민성 『나라경제』 인턴기자2024년 03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인포그래픽.pdf 일·가정 양립정책으로 깊은 저출산 계곡을 빠져나올 수 있으려면? 김영미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2024년 03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김영미.pdf “엄마 아빠에겐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을 늘려주는 정책이 더 필요합니다” 고병찬 신용보증기금 기업구조조정센터 차장2024년 03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고병찬.pdf 워킹맘에겐 매 순간이 도전, 일상이 전쟁이고 곳곳이 지뢰밭 권한울 매일경제신문 사회부 기자2024년 02월호 다운로드 닫기 연중기획 권한울.pdf BACK PAGEPREVIOUS12345678910NEXTNEXT PAGE BACK PAGEPREVIOUS12345NEXTNEXT PAGE 경제e정표 경제e정표와 함께하는 주택공급 정책 경제e정표 경제e정표와 함께하는 저출생 정책 인포그래픽 경제e정표와 함께하는 철도산업정책 구독관리 구독신청 독자문의 eBook 보기 PDF 전체보기 2025년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09년 2008년 2007년 2006년 2005년 2004년 2003년 2002년 2001년 2000년 1999년 1998년 1997년 1996년 1995년 1994년 1993년 1992년 1991년 1990년 01월 02월 03월 04월 05월 06월 07월 08월 09월 10월 11월 12월 보기 과월호 보기 나라경제 인기 콘텐츠 세계는 지금 미중 무역전쟁 2라운드 시작, 2025년 중국경제는? 박준석 주홍콩총영사관 선임연구원 칼럼 - 시평 트럼프 정부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송준혁 한국외대 경제학부 교수 특집 동맹국으로 확대되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환율전쟁으로 확전될 조짐 한상춘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 국제금융 대기자 특집 AI산업 뒷받침하는 인프라 확충과 지원정책 본격 추진 이재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담당관 이슈 여행·온라인쇼핑도 활발하게! 액티브 시니어가 온다 『나라경제』 편집실 이슈 글로벌 에이지테크시장 2조7천억 달러… 한국은 걸음마 단계 이병문 매경헬스 편집국장 특집 왜 다시 경제성장인가? 남창우 KDI 연구부원장 많이 본 자료 발행물 전체 4월 22일은 지구의 날 달러에 투자하는 4가지 방법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쟁점 5가지 미국 배당주로 제2의 월급통장 만들기 예금 vs 적금, 재테크 초보에게 어떤 저축이 유리할까? 엔캐리트레이드가 이루어지면 엔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지 않나요? 터키에서 튀르키예로의 국명 변경, 국가브랜드 전략의 일환 4월 22일은 지구의 날 12조원대 ‘필수 추경안’ 마련 달러에 투자하는 4가지 방법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의 노력, ESG경영 챗지피티(챗GPT)의 핵심, ‘초거대 인공지능(AI)‘ 기술 경쟁 본격화 인문100년장학금 과기정통부, ‘누누티비 시즌2’에 강력 대응 의지 밝혀 나라경제/칼럼 청년층에 불리한 주택청약제도, 과감한 혁신 필요하다 e경제웹툰 [팀튜링의 디지털 오디세이] 제1화 UAM의 미래 소셜 빅데이터 분석/이머징이슈 [2024.04] 물가상승 e경제정보리뷰마이데이터 - 개념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