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연중기획
창업 의지에 장애가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임학종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창업지원팀장 2018년 12월호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이하 ‘센터’)는 장애인의 경제활동 및 자립기반 마련을 위해 맞춤형 창업교육, 창업아이템 경진대회, 창업보육실 지원, 창업사업화 자금 지원, 창업점포 지원 등을 통해 창업을 돕고 있다.


장애인 맞춤형 창업교육
센터는 장애 유형과 창업 준비 정도에 따라 일반과정, 특화과정 2가지 유형으로 구분·편성해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지원대상은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국가유공자증서 소지자 중 상이자(傷痍者)이며, 등급에는 제한이 없다.
일반과정에서는 다양한 업종의 장애인 예비창업자 및 업종 전환 희망자에게 기초교육(12시간, 코칭 포함), 멘토링(5회, 이동이 불편한 경우 방문멘토링 제공) 등을 제공한다.
특화과정에서는 장애 특성 등으로 인해 창업에 애로사항이 있을 경우 민·관·학 협업을 통한 기술창업과정(ICT창업과정), 장애 특성을 감안한 과정(시각장애인 안마원창업과정, 발달장애인·가족 영농창업과정)을 편성해 기초교육, 업종교육, 멘토링, 현장실습 및 창업체험(팜쉐어) 등을 패키지 형태로 지원하고 있다.
- 센터 창업넷홈페이지(start.debc.or.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사업 통합공고 시에 유선으로 교육수행기관에 신청


장애인 창업아이템 경진대회
기술경쟁력과 성장잠재력을 갖춘 장애인 예비창업자 및 창업초기(창업 3년 미만) 기업을 대상으로 우수한 창업아이디어를 발굴해 포상한다. 연 1회(상반기) 모집하며 1차 서류심사, 2차 모의 크라우드펀딩(전문가품평회), 3차 발표심사를 통해 최종 수상자를 선정한다. 선정된 11개 아이템에 대해서는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과 상금을 지급하며, 센터 창업보육실 입주, 점포 지원사업, 사업화 자금 지원 등 창업 지원사업 신청 시 우대지원(가점 부여)한다.
- K-스타트업(www.k-startup.go.kr) 및 센터 홈페이지(debc.or.kr) 사업공고 확인, 방문·우편으로 신청


장애인 창업보육실 지원
창업보육실 지원은 우수한 창업아이템을 보유한 장애인 예비창업자 및 창업초기(창업 3년 미만) 기업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공간 및 사무기기 등을 지원하며, 연장계약 포함 최장 5년간 보육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센터는 전국 16개 지역센터 내에 138개 창업보육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실 발생 시 지역센터별 모집공고를 통해 대상자를 선발한다. 제조업, IT 관련업, 지식서비스업 등 기술을 갖춘 사업화 가능업종에 한하며, 개인서비스업과 음식업 등(창업보육센터 입주 제외대상 업종 참조)은 지원대상에서 제외한다. 
- 센터 홈페이지(debc.or.kr) 사업공고 확인, 방문·우편으로 신청


장애인 창업사업화 자금 지원
창업사업화 자금 지원사업은 장애인 예비창업자 및 업종 전환 희망자를 대상으로 창업 초기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초기비용은 매장모델링비, 시제품제작비, 브랜드개발비, 홈페이지 제작 등 마케팅비용 등에 한한다. 상·하반기 연 2회 모집하며, 선정자에겐 최대 1천만원, 청년(만 39세 이하)의 경우 최대 2천만원까지 지원한다.
- K-스타트업(www.k-startup.go.kr) 및 센터 홈페이지(debc.or.kr) 사업공고 확인, 방문·우편으로 신청


장애인 창업점포 지원
창업점포 지원사업은 장애인 예비창업자 및 업종 전환 희망자를 대상으로 점포보증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상·하반기 연 2회 선발하며, 선정자는 점포계약 체결 후 최장 5년간 최대 1억3천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업종은 점포형 자영업종이며, 센터에서 주관하는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에 한해 신청할 수 있다. 
- K-스타트업(www.k-startup.go.kr) 및 센터 홈페이지(debc.or.kr) 사업공고 확인, 방문·우편으로 신청

확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