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이슈
디지털 기록관리체계 구축 본격화, 개방과 공유의 기록문화 시작돼
남영준 중앙대 문헌정보학과 교수 2016년 09월호



인류는 기록을 통해 자신의 업적과 지식, 경험을 후대와 공유함으로써 발전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인류는 알타미라의 동굴벽화를 비롯해 피라미드의 벽에, 파피루스에, 양피지 등에 신에 대한 경외심과 함께 인류의 생활에 대한 다양한 기록을 후대에 전하고 있다. 기록에 대한 인류의 열정은 유네스코에서 지정하는 세계기록유산을 통해 그 위대함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의 위대한 선조들도 「훈민정음」을 비롯해 「조선왕조실록」, 「동의보감」 등 13건의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에는 선조들의 역사와 경험, 지식 등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이러한 선조들의 지식자산 전승 덕분에 우리나라는 여러 국가적 역경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선진국 대열에 합류할 수 있었다. 특히 디지털 혁명이라고 불리는 IT기술과 인터넷의 출현은 우리 민족의 기록문화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발판이 됐다.


전통적으로 기록물관리는 종이기록물 중심의 아날로그 기반 관리체계로 이뤄졌다. 종이기록물의 보존적 안정성과 종이라는 매체의 친숙함 때문이었다. 그러나 2004년부터 우리나라는 전자정부라는 기치 아래 정부업무시스템을 통해 모든 자료를 디지털 형태로 관리하도록 했다. 2015년부터는 「공공기록물법」에 따라 10년 이상 장기 보존이 필요한 중앙부처와 특별지방행정기관 등 174개 기관의 전자기록물이 본격적으로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됐다. 이관은 물리적이송 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부처에서 국가기록원의 CAMS(중앙영구기록관리시스템)로 단기간에 이뤄졌다. 과거 아날로그 기록물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했던 물리적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러한 전자기록이관체계를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디지털 기록물은 기본적으로 변조나 삭제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또한 진본성과 원본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 법에 따르면 전자기록이관이 이뤄진 후에 해당 기관은 해당 전자기록물을 보관할 수 없다. 그런데 누군가가 원본을 전자이관한 후에 악의로 해당 기록물의 내용을 변조했을 경우다. 훗날 변조된 자기 것이 원본이고 국가기록원에서 보관하고 있는 전자기록물이 변조됐다고 우길 경우 이를 판단해내는 데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종이기록물은 유일한 자료가 하나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지털 기록물은 이 외에도 가독성과 보존통제 같은 문제가 있지만 디지털이기 때문에 갖는 장점도 매우 많다. 임진왜란과 관련된 영화를 보고 난 후에 이순신 장군을 괴롭힌 장수의 이름을 찾아보자.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기록유산 관련 웹사이트를 방문하면 디지털 기록물은 물론이거니와 한글 해설까지 존재한다. 다른 사람이 보고 있다고 내가 차례를 기다릴 필요도 없다. 디지털 기록문화의 핵심가치인 공유와 개방 덕분이다.


그러면 디지털 기록관리에 대한 우려는? 우리나라 국가기록원이 디지털 기록물이 갖고 있는 모든 문제점을 앞장서서 해결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기록물 위변조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표준의 ‘양파모델을 이용한 서명재적용 방법’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디지털 기록물 유통 단계마다 전자서명을 부착해 변조 자체를 불가능하게 했다. 이 외에도 디지털 기록이 갖는 문제점들을 제도적, 기술적으로 철저하게 대비하고 있다. 이제 국민은 안심하고 디지털 기록문화의 유용성을 만끽하면 된다.



보기 과월호 보기
나라경제 인기 콘텐츠 많이 본 자료
확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