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이슈
빅데이터 활용 제고에 초점···지역 바이오 클러스터 육성에도 팔 걷어
김선기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나노과장 2018년 04월호



지난 2월 산업통상자원부는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서비스 및 신약·의료기기 개발 지원을 골자로 하는 ‘바이오·헬스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전자의무기록(EMR)을 통해 축적된 풍부한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만 개인정보보호, 데이터 표준 문제 등으로 활용 여건이 미비하다. 이에 전략의 초점을 ‘빅데이터의 활용성 제고’에 뒀다. EMR, 유전체 정보, 라이프로그 등 데이터를 공통데이터모델(CDM)로 표준화해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의료데이터 원본의 유통 없이 분석한 결과(통계)만을 제공해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위험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구축된 플랫폼을 활용한 헬스케어서비스 모델 개발도 지원한다. 고령자, 만성질환자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헬스케어서비스를 실증할 계획이다. 자동차, 통신, IT, 화장품 등 여러 업종으로 구성된 ‘디지털 헬스케어 융합 얼라이언스’를 구축해 바이오와 이(異)업종이 융합된 새로운 서비스 모델 발굴 또한 추진한다.
바이오헬스산업 특성에 부합한 규제시스템 도입 방안도 마련한다. 바이오 규제개선 옴부즈맨 등을 운영해 새로운 서비스 창출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발굴할 계획이다. 발굴된 규제는 4차산업혁명위원회 헬스케어특별위원회, 국무조정실 규제개혁위원회 등에 상정해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와 개선을 협의해나갈 방침이다.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신약 개발에도 본격적으로 나선다. 범부처 공동으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사업 신설을 추진한다. 바이오 벤처, 혁신기술 보유기업, 해외진출 유망기업 등 성장 단계별로 신약 개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해 기술 사업화와 해외시장 진출을 돕는다. 미국 FDA 허가, 신약기술의 지식재산권(IP) 등에 대한 맞춤형 기업 컨설팅 프로그램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바이오스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도 AI 기반 스마트 진단시스템, 재활로봇 등 빅데이터, 로봇기술 등을 활용한 신개념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한다. 수요자인 병원 중심의 맞춤 의료기기 개발과 시장 진출 지원도 지속한다. 병원과 기업이 공동으로 개발한 제품의 국내 시장 진출을 위해 의료기기 구매조건부 R&D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주요국 의료기기 시장에 대한 현지 마케팅 지원, 인허가 정보 제공 등 맞춤형 컨설팅도 제공할 방침이다.
바이오헬스 발전전략의 마지막 퍼즐은 ‘지역’이다. 바이오헬스산업 강국 도약의 선도기지 역할을 할 지역 바이오 클러스터 육성에 팔을 걷는다. 연구개발, 생산, 혁신의지 등 지역별 역량과 특화 분야를 분석해 하반기 중 ‘바이오 클러스터 경쟁력 강화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별 강점을 기반으로 신산업 창출을 위한 프로젝트를 발굴해 집중 투자할 예정이다. 성남(헬스케어), 송도(바이오의약품), 원주(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분야별 혁신거점을 지정하고, 지역 인프라와 기업을 활용해 혁신적 서비스 실증사업 등 메가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또한 지역 내 대학(원천기술), 병원(임상연구), 기업(사업화) 등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지역별 특화 분야에 대해 R&D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클러스터 핵심 주체의 역량을 강화해 클러스터가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위한 생태계로서의 역할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예정이다.

보기 과월호 보기
나라경제 인기 콘텐츠 많이 본 자료
확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