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쓰레기 대란을 겪으며 자신이 얼마나 쓰레기를 배출하는지 한 번쯤 고민해본 사람이라면, 그래서 분리배출에 신경 쓰고 재활용 플라스틱 용기를 꼼꼼히 세척해 버려본 사람이라면, 이제 다음 단계로 갈 차례다. 바로 프리사이클링(Precycling)이다. ‘미리’를 뜻하는 접두사 ‘pre’와 재활용을 의미하는 ‘recycling’을 합친 프리사이클링은 소비 단계에서부터 쓰레기 발생을 줄이려는 노력을 일컫는다. 이러한 프리사이클링을 넘어 제로웨이스트(Zero Waste·쓰레기 제로)를 실천 중인 배민지 『SSSSL(쓸)』 편집장을 만났다. 3년 전 지방의 한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일하던 그는 어느 날 전자폐기물이 버려지는 곳에서 노동하는 아이들을 다룬 TV 다큐멘터리를 봤다. 그 열악한 환경에 그날 밤 잠이 오질 않았단다. 그날 이후 삶이 바뀌었다. 「나는 쓰레기 없이 산다」 등의 책을 읽고 ‘나중에’ 실천해봐야지 했다가, 공감대를 이룰 사람이 많고 업사이클링 문화와 교육이 활발한 서울로 이주까지 했다. 직업도 바뀌었다. 한국업사이클디자인협회, 소셜이큐 등에서 업사이클링 관련 교육·기획을 하다가 이젠 제로웨이스트 잡지 『SSSSL』을 창간해 콘텐츠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그의 에코백엔 무엇이 들어 있을까. “텀블러, 손수건, 개인수저는 꼭 갖고 다녀요. 시장에선 비닐봉투를 거절하고 두부 등 식재료는 미리 준비해간 용기에 담아오죠.” 플라스틱 병에 든 생수 대신 물은 끓여 마시고 일회용기에 담긴 치약과 샴푸 대신 가루치약, 비누를 쓴다. 배달음식은 사절이다. 그렇게 해도 물론 쓰레기는 생긴다. 대한민국에서 포장되지 않은 것을 찾기란 어려운 게 현실이니까. 한 달에 5리터 정도 일반 쓰레기가 나온다. 사실 불편한 점도 많다. “얼마 전엔 햄버거가 먹고 싶어 패스트푸드점에 갔는데 직원들이 너무 바빠 들고 간 통에 담아 달라는 말을 차마 할 수 없더라구요. 다 포장돼 나오는 시스템이니…. 감자튀김만 부탁했어요. 또 대형마트보다는 재래시장에서 쓰레기를 만들지 않고 물건을 살 수 있는데, 한곳에서 원하는 걸 다 살 수 없는 불편은 감수해야 하죠.” 그래도 요즘의 바뀐 사회 분위기가 반갑다. 쓰레기 줄이기는 혼자 하기 힘든 부분이 많아서란다. 쓰레기를 만들 수밖에 없게 돼 있는 우리 삶의 구조를 돌아봐야 하니 함께할수록 시너지가 난다. 그래서 제로웨이스트를 알리고 싶어 무턱대고 창간했던 잡지 『SSSSL』도 이젠 ‘욕심’이 난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제로웨이스트의 삶과 정보, 이슈와 문화를 전달하고 싶다. “쓰레기를 만드는 것은 결국 우리니까요. 개개인의 실천은 모래알 같겠지만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더 큰 나비효과로 돌아올 것 같아요.” 『SSSSL』은 현재 2호 발간을 위해 텀블벅에서 펀딩 중이다. 프리사이클링을 하려는 사람들에게 전할 팁이 없냐고 물으니 텀블러나 손수건을 챙겨보라는 게 아닌, 의외의 대답이 돌아왔다. “‘나는 괜찮다’고 본인의 의사를 분명히 전달하는 연습이 필요해요. 예쁘게 포장해주고 편히 들고 가라는 상대의 선의를 잘 거절하는 게 중요하죠.” 정책에 바라는 점도 있다. “텀블러만 해도 짐스러운 게 사실이에요. 무게도 있고 챙겨 다녀야 하고 씻어서 말려야 하죠. 공공장소 등에서 다회용기를 쓸 수 있도록 비치하는 등 지속 가능하고 생활에 밀접한 정책들이 나오면 좋겠어요.” 집으로 돌아오는 길, 취재수첩에 그가 명함 대신 찍어준 도장을 보니 오늘은 텀블러에 스텐 빨대를 꽂아 아이스아메리카노를 마셔보고 싶다. 귀찮지 않고 어쩐지 힙해 보이는 것도 같다. 쓰레기로 버려지는 것들 대신 나의 의지로 채우는 삶이 반짝하고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