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이슈
“치열하게 탐색하고 집중해 내게 맞는 일의 모양 찾아가길”
장영화 조인스타트업 대표 2022년 08월호


사람 농부. 장영화 조인스타트업 대표의 명함에 적힌 타이틀이다. 7년간 730명의 커리어를 매칭해 온 그에게 딱 맞는 수식어다. 지난 5월 그 경험들을 토대로 『커리어피보팅』을 발간한 그 자신도 사실 이과생에서 문과생으로, 변호사에서 창업가로 변신한 커리어피보팅(career pivoting)의 당사자다. 장 대표를 만나 내게 맞는 일을 찾아가는 방법을 들어봤다.

요즘 젊은 세대의 직업환경을 어떻게 보나.
대혼돈의 시대다. 예전엔 대학을 졸업하면 공채로 채용하고, 일을 하면서 잘할 수 있는 직무에 배치했다. 그런데 요즘은 무엇을 할 줄 아는지 묻는다. 대학에서 공부한 것 외에는 없는데 말이다. 세상은 빨리 변하는데 학교는 그러지 못하다 보니 학교와 세상 간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방황하는 친구들이 많지만, 반대로 그 격차를 인정하고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자신의 일을 만들어가는 친구들이 생겨나고 있다.

최근 커리어피보팅이란 화두를 꺼냈다. 
우리 시대는 과거와 다르지 않나. 앞으로 우리가 일을 한다면 형태도, 내용도 바뀔 텐데 그 일의 모양과 방향을 나에게 맞는 모습으로 조명하고 만들 필요가 있고, 이걸 어떻게 하는지 알려줄 필요가 있겠다 싶었다. 가장 먼저, 일이 나에게 무엇인지 스스로 정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내 경우 일은 나를 표현하는 수단이다. 내가 잘 쓰이는 게 너무 중요하다. 하지만 세상에 나 같은 사람만 있는 건 아니다. 덜 벌어도 되니 정해진 시간 동안 정해진 일만 하고 싶은 사람도 있다. 즉 내가 일에 기대하는 게 뭔지 정의돼야 한다. 커리어피보팅은 그 과정에서 필요한 것이다. 그게 직업을 바꾸는 걸 수도 있고, 직장이나 일의 형태를 바꾸는 것일 수도 있다. 

커리어피보팅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탐색-선택-집중-연결, 이 네 단계로 정리할 수 있다. 어떤 방식으로 피보팅할지 검토하고 탐색한 후, 선택을 했으면 거기에 집중해야 한다. 집중을 해봐야 나에게 맞는 일인지 알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추려내고 연결해야 한다. 최근 6개월간 탐색 과정을 거친 한 친구는 이직하지 말자는 결론을 얻었다. 이직을 시도해 보니 지금은 본인이 설정한 목표에 도달할 준비가 덜 된 것을 깨달은 것. 하지만 이후에는 어느 분야로 갈지, 어떤 역량을 갖출지 등 몇 가지 결론을 추려냈다. 치열한 탐색의 시간이 있었기 때문에 얻어낼 수 있었던 결과다. 이것을 다음 단계로 연결하는 것이다. 

주도적인 탐색 역량을 기르는 게 중요해 보이는데.
무엇보다 좋은 진로교육 중 하나는 스스로 돈을 벌어보는 것이다. 그게 아르바이트라도 좋다. 미국 같은 경우는 레모네이드를 팔거나, 옆집 아이를 돌봐 주고 돈을 받는 식으로 이런 교육이 생활 속에 자리 잡혀 있다. 열에 아홉은 돈 버는 직장에 가서 일을 할 텐데 부모들도 열린 마음으로 자녀에게 그런 훈련이 필요하다는 걸 인식했으면 한다. 가정에서 할 수 있는 훈련은 정해진 일을 하거나 타인을 위해 뭔가 노력했을 때 용돈을 주고, 그렇게 번 돈으로 스스로 투자하고 관리하는 경험을 하게 하는 것이다. 

끝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다음 세대에 한말씀. 
나에게 맞는 일을 찾고 싶다는 바람부터 시작하자. 내가 뭘 원하는지 아는 사람이 바꿔도 잘 바꾸고, 해도 오래한다. 이제는 우리가 원하는 일을 하고 살아도 되는 시대가 됐다. 우리에게 일이라는 자전거가 있는데, 이 자전거는 ‘꿈’과 ‘밥’이라는 두 바퀴가 동시에 굴러가야 한다. 이걸 탄탄하게 굴리면 원하는 데를 마음대로 갈 수 있다. 얼마나 즐겁나. 나만의 일, 나의 일이라는 자전거를 잘 굴려가며 살아갈 수 있길 바란다.  
홍성아 『나라경제』 기자
보기 과월호 보기
나라경제 인기 콘텐츠 많이 본 자료
확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