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봇연맹(IFR)에 따르면 글로벌 로봇시장은 2030년 831억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신흥 제조국의 자동화 수요 증가, 미국과 유럽 등의 공급망 온쇼어링(on-shoring) 정책 등으로 제조로봇의 지속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생산인구 감소, 서비스 수요 다양화 등으로 서비스로봇시장이 본격화하고 있어 2025년 이후에는 제조로봇시장을 추월할 전망이다.
로봇산업은 생산성을 크게 높이고, 인구구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그 자체로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는 일석삼조의 산업이다. 특히 첨단로봇은 전통 제조업뿐 아니라 방위산업, 우주·항공 등 신산업 분야와 서비스산업까지도 전방산업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잠재력도 높게 평가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반도체, 배터리, IT 등 로봇산업을 뒷받침하는 후방산업이 튼튼하며, 우수한 제조역량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로봇산업이야말로 대한민국이 가장 잘하는 미래산업이 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2월 14일 로봇이 우리 산업과 일상을 변화시키고 경제 혁신의 견인차가 될 수 있도록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인 ‘첨단로봇산업 비전과 전략’ 발표를 통해 3가지 핵심전략을 선정, 강력하게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민관합동으로 2030년까지 3조 원 이상을 투자해 핵심 기술과 인력 등 경쟁력을 빠르게 확보한다. 5대 핵심 하드웨어(서보모터, 센서, 감속기, 그리퍼, 제어기)와 3대 미래 소프트웨어[자율주행, 자율조작, 인간-로봇 상호작용(HRI)] 등 8대 핵심 기술을 신속하게 확보해 보다 튼튼한 로봇기술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우수한 인력이 업계에 공급될 수 있도록 미래차, 드론 등 첨단 모빌리티 산업과 연계해 2030년까지 1만5천 명의 전문인력을 집중 양성할 방침이다.
둘째,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에 첨단로봇을 대폭 보급해 산업적·사회적 기여도를 높이고, 이를 발판으로 글로벌시장 진출을 도모한다. 제조업, 물류, 복지, 안전 등 전 산업 영역에 2030년까지 첨단로봇 100만 대 이상을 보급한다.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충분한 트랙레코드(기업 실적)를 쌓아 글로벌시장으로의 진출도 지원한다. 진출하려는 국가의 특성에 맞게 정부 간 협력, 공적개발원조(ODA), 국제공동 R&D 등으로 협력을 강화하고 전시회 개최, 해외인증 등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셋째, 첨단로봇의 원활한 시장 진입을 위해 사람과 로봇이 공존할 수 있는 로봇 친화적인 제도적 환경과 인프라를 구축한다. 지난해 3월 발표된 ‘첨단로봇 규제혁신 방안’을 기반으로 로봇의 보도통행을 허용하는 등 51개 핵심규제를 개선하고 있으며, 앞으로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을 전면 개편해 기술 진보와 로봇산업 변화에 맞게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새롭게 마련한다. 또한 개발된 로봇이 시장과 국민의 눈높이에 맞게 안전성과 신뢰성을 실증할 수 있도록 2천억 원을 투자해 국가로봇테스트필드를 구축하는 한편, 로봇 확산에 따른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로봇윤리헌장·윤리가이드 마련 등을 통해 로봇에 대한 인식도 제고할 계획이다.
로봇산업의 경쟁력 확보는 국가 제조업 경쟁력 강화는 물론 안전, 재활, 돌봄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포용적 성장 실현을 위한 출발점이다. 민관이 소통하고 힘을 모아 ‘K-로봇 경제’를 실현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