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분야에 AI가 활용되며 새로운 전환의 시대를 맞고 있다. 디지털 전환으로 생산성과 효율성이 향상되고, 생성형 AI를 활용해 새로운 부가가치도 창출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회사 골드만삭스는 아마존, 메타, MS, 구글 등이 지출의 상당 부분을 AI에 할당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빅테크 기업의 막대한 자본 투자에 힘입어 AI 기술은 아주 빠르게 진보하고 있으며, 챗GPT 출시 이후 생성형 AI가 대세로 자리 잡았다.
중국정보통신연구원의 ‘2024 글로벌 디지털경제 백서’에 따르면 전 세계 AI 기업은 약 3만 개이며, 이 중 미국 기업이 34%, 중국 기업이 1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 대규모 AI 모델 중 미국이 44%, 중국이 36%를 차지해 두 나라가 이 분야를 독점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정부는 AI산업 육성과 관련 기업의 성장을 위해 3조5천억 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처럼 전 세계가 AI 개발과 투자에 집중하고 있는 이유는 AI 역량이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AI는 반도체, 로봇 등 첨단기술과 융합해 그 가치를 더 높이고 있다. AI산업 생태계에서는 반도체-클라우드-플랫폼-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빅테크 기업 중심의 합종연횡이 진행 중이다. 이들은 가치사슬 간의 시너지를 최대로 끌어내고 수직통합화한 AI 풀스택(full stack;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통합 제공) 전략으로 AI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한편으로는 오픈AI, 구글, 메타 등 플랫폼 기업 간의 AI 패권 경쟁이 심화하는 양상에 대해, 소수 국가나 기업의 AI 독점에 맞서 자국 환경에 맞는 AI를 구축하는 ‘소버린 AI’ 등 생태계의 다양성이 필요하다는 인식도 확산하고 있다.
중소기업들은 공개된 오픈소스 거대언어모델(LLM)을 파인튜닝(fine-tuning)해 활용하거나 도메인에 특화된 경량화 언어모델(sLLM)을 구축 중인데, 이에 기반한 맞춤형 생성형 AI 솔루션과 법률·의료·제조·금융 등 특화 분야의 AI서비스 도입 성과가 차츰 가시화돼 기대를 모으고 있다. 나아가 공공서비스에서도 생성형 AI가 도입돼 AI 기술의 활용범위와 서비스 수준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서비스는 사회적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국민은 일상생활에서 AI의 혜택을 좀 더 가까이 체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중앙부처·지자체·공공기관이 AI를 효과적으로 도입·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 부문 초거대AI 도입·활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다양한 AI 솔루션 구축과 서비스 활용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초거대AI 서비스 개발 지원과 플랫폼 이용 지원 사업을 통해 공공기관들의 AI서비스 기획 및 개발, 맞춤형 컨설팅, 기술검증(PoC), 플랫폼 이용 등을 종합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교통공사에 제공한 AI서비스는 지하철 차량, 전기·통신 등 도시철도 안전과 관련된 법령과 규정, 매뉴얼을 학습시켜 현장 담당자의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도왔다. 경기도 화성시 등에는 공공 민원 콜센터 상담을 지원하는 AI서비스를 통해 민원 대응 품질과 속도를 높여 공공 콜센터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했다.
현재 초거대AI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거나 도입을 희망하는 기관들은 공공의 특수성으로 인해 해외 플랫폼보다는 국내 상용 AI 플랫폼을 선호한다. 또한 sLLM 개발 등을 통해 비용 부담을 낮추고, 프라이빗 형태의 솔루션 구축으로 데이터 보안과 정보 유출의 우려를 줄이려는 경향도 보인다.
공공서비스는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하게 제공해야 하는 만큼 데이터 학습방식, 네트워크 구성, 도입·운영 비용, 서비스 수준 등을 종합 검토해 구축 및 활용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특히 데이터 및 정보 유출, 편향되거나 부정확한 콘텐츠, 할루시네이션(환각) 현상은 공공 부문의 AI 도입 및 확산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기에 정부 보안지침 준수와 함께 양질의 검증된 콘텐츠를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AI 모델 개발에는 막대한 자금 투입과 인프라 확충이 전제돼야 한다. 빅테크 기업이 독주하는 상황에서 국내 AI 플랫폼뿐 아니라 다양한 AI 스타트업이 독자적인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과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