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이 발표된 후 코스닥지수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버블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최근 미국 주식시장이 큰 폭으로 조정을 받으면서 코스닥지수도 큰 폭으로 하락하긴 했지만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에 대한 기대가 남아 있어 향후 정책 추진 과정에서 긍정적 영향을 기대해볼 수 있다. 과거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직후에도 벤처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유도한 적이 있다. 그 결과 네이버, 다음 등 지금의 대형 인터넷기업이 출현할 수 있었다. 하지만 버블 붕괴라는 부정적 영향도 만만치 않았다. 과거 경험을 교훈 삼아 부정적 영향보다는 긍정적 영향이 극대화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먼저,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의 목적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번 대책이 코스닥지수 상승만을 지향하고 있는지, 코스닥시장의 ‘기업 자금조달 창구’ 역할을 강화하는 것인지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시장 활성화 대책이 주가 상승만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이해될 경우 기업의 본질적 가치보다 주가가 크게 높아지는 버블이 만들어질 수 있다. 버블이 터질 경우 부정적 영향이 더 커질 수 있고 시장 구조는 취약해진다. 이번 대책이 혁신기업을 육성하기 위함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중장기적인 산업정책을 기반에 둔 대책이 돼야 할 것이다. 금융은 실물경제의 거울이라고 한다. 실물성장 없이는 금융발전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코스닥시장과 연계해보면 혁신기업 육성정책이 추진되면 해당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은 커지게 된다. 이러한 기업들은 주로 코스닥시장을 통해 자금조달이 용이하도록 정책 방향이 설정돼 있다. 결국 코스닥시장은 활성화될 수 있고 코스닥지수는 견조하게 상승할 수 있을 것이다. 혁신기업 육성정책은 경기 부양과 잠재성장률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더 많은 혁신기업이 등장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다. 결국 중장기적인 우리의 산업구조와 연관된 정책을 기반으로 혁신기업 육성정책이 추진돼야 하고, 이 과정에서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이 추진돼야 할 것이다. 셋째, 기업들도 보다 긴 그림으로 코스닥시장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기업의 자금조달은 성장국면별로 그 성격이 상이하다. 특히 중장기 자금을 조달할 때는 주식시장의 역할이 중요하다. 금융비용이 적은 시장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스닥시장에 진입한 기업들 중 상장 이후 시장과의 소통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기업정보의 접근성과 투명성 저하로 코스닥시장 활성화가 지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향후 자금조달이 필요할 때 주식시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높은 금융비용을 지불해야 할 수 있다. 이번 대책과 함께 기업들의 노력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 이상을 종합하면 혁신기업 육성을 위한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이 시행돼야 할 것이다. 혁신기업 육성은 중장기적인 산업정책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이와 함께 기업들도 기업정보의 접근성과 투명성을 높여 기업의 성장과 코스닥시장의 성장이 동일시되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투자자들의 코스닥시장 투자도 보다 긴 안목에서 기업 펀더멘털에 기반을 두고 이뤄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