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Now
韓, 환율·금리 안정적 유지 신흥국은 산발적 금융불안 지속
이지평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2018년 07월호



미국을 비롯한 세계경제가 견실한 확대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신흥국 경제위기에 대한 경계심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선진국의 저금리에 힘입어 채무를 늘려왔던 신흥국에서 자금을 회수하려는 외국인 투자가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지난 5월 기준 신흥국의 채권발행액은 1,078억달러로 전년 동월비 41%나 감소했다. 물론 아시아 신흥국의 경우 경제위기를 겪고 있는 베네수엘라나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500억달러의 금융지원을 받은 아르헨티나 등에 비해선 외채상황이 양호해 신흥국 금융불안이 연쇄적으로 발생할 것인지에는 불확실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향후 신흥국경제가 세계경제의 호조에 힘입어 금융불안을 억제할 것인지, 혹은 신흥국 금융불안의 확산으로 세계경제의 성장세가 위축될 것인지는 미국의 금융긴축 정책의 향방과 강경한 통상정책이 무역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 등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미국의 금융긴축 정책이 신흥국 금융불안이나 통상마찰로 인한 각국 기업의 투자심리 악화를 고려해 신중하게 이뤄질 것인지가 중요하다. 미국경제는 트럼프 정부의 재정확대 정책에 힘입어 올해 2%대 후반의 견실한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며,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이하 연준)는 올해 및 내년에도 금리인상 정책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3% 정도로 상승한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3%대 중반 정도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이럴 경우 신흥국의 통화나 각종 금융자산에 대한 하강압력이 지속될 것이며 중남미 등 외채 부담이 큰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다만 미 연준은 지난해 10월부터 진행해왔던 양적 금융완화의 축소정책은 신중하게 추진하고 있다. 현재 미 연준의 보유자산은 2008년 금융위기 이전의 9천억달러에서 4조2천억달러로 늘어났는데, 완만한 출구전략을 감안할 경우 2020년에도 3조달러 정도를 유지할 전망이다. 신흥국 불안을 고려하면 양적완화 축소의 과도한 가속화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 미국 금융정책의 완전한 정상화는 다음 경기 순환기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 연준의 금리인상 정책의 경우도 신흥국 위기가 심해지면서 미국경제에 대한 충격이 가시화될 경우에는 현재의 예상과 달리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세계경제의 둔화가 점차 뚜렷해지면서 중대한 불확실 요인이 되고 있는 통상마찰의 향방이 우려되긴 하지만 각국에 서로 불이익을 가져올 무역전쟁이 발생할 가능성은 아직 낮다. 아시아 신흥국을 포함한 세계의 제조업은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형태로 밀접하게 연계돼 있어 통상마찰의 심화는 중국과 기타 신흥국뿐 아니라 선진국 제조업에도 충격을 줘 세계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의 경우도 IMF가 발표한 구매력평가지수(PPP)를 기준으로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0년의 20.6%에서 2017년 15.3%로 하락해 세계경제의 영향을 무시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세계경제가 극심한 위기를 피하더라도 신흥국에서의 산발적 금융불안이나 통상마찰의 확산은 예상되므로 경제체질의 강화가 그 어느때보다 중요하다. 우리 경제는 상대적으로 환율·금리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신흥국을 선별하려는 외국인 투자가의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방만한 재정지출과 포퓰리즘을 경계하면서 중장기적으로 생산성과 성장잠재력을 높이는 노력이 중요한 시점이다.

보기 과월호 보기
나라경제 인기 콘텐츠 많이 본 자료
확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