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벤처는 벤처기업의 ‘혁신성’과 사회적기업의 ‘공익성’을 동시에 갖춘 기업이다. 일자리·장애·빈곤·양극화 등의 사회 문제를 혁신적인 기술·서비스로 해결, 수익을 창출하는 식이다. 프랑스의 에그리쿨이나 영국의 빅이슈 등이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꼽힌다. 정부는 소셜벤처의 성장잠재력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 5월 16일 ‘소셜벤처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방안’을 내놓으면서 중장기적인 육성 계획을 세웠다. 국내 소셜벤처는 이제 걸음마를 시작한 단계다. 전체 소셜벤처 수는 500여개로 추산된다. 벤처기업 3만5천여개와 사회적기업 1,937개에 비해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정부의 소셜벤처 정책은 크게 세 갈래로 나뉜다. 첫 번째는 소셜벤처의 구분 기준과 평가 방식 마련이다. 이르면 11월 중 소셜벤처에 대한 구분 기준 가이드라인부터 발표한다. 그동안 구분 기준이 없었던 탓에 정부가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지난달까지 소셜벤처 기업가와 공공기관, 임팩트투자사 등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해 분야별 특성에 맞는 세부 기준을 완성했다. 공익성과 혁신성 등을 따지는 12~14개 평가 항목에 따라 소셜벤처 여부를 판단한다. 다만 기존의 사회적기업이나 벤처기업 같은 인증제도는 시행하지 않는다. 정부가 가이드라인만 제시하고 민간 투자자나 공공기관 등이 이를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소셜벤처의 기업적 가치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치평가모형’도 연내 공개한다. 기술보증기금과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등이 민간 투자사와 공동으로 만든 소셜벤처 가치평가모형은 재무적 성과와 사회적 가치를 객관적인 점수나 등급으로 평가한다. 평가등급에 따라 정부의 융자·보증, 연구개발(R&D) 자금 등 정책 지원에 활용 가능하다. 민간 투자사와 은행 등이 투자할 때도 평가모델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다음으로 전국에 ‘소셜벤처 중심지(허브)’를 구축한다. 내년 관련 예산으로 24억원을 편성, 수도권과 지방에 4~5개 허브를 만들 계획이다. 수도권에는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 일대에 ‘소셜벤처밸리’를 조성한다. 성동구청에 있는 성동소셜벤처 허브센터와 고용노동부의 소셜캠퍼스 온(溫), 민간에서 운영하는 헤이그라운드를 중심축으로 창업공간, 시제품 제작, 공유형 물류창고 등을 갖춘 소셜벤처 특화 지역으로 꾸민다. 지방은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 중 적합한 곳을 활용해 창업자와 예비창업자 100개팀을 선발해 지원한다. 끝으로 정책자금 투자·지원도 확대한다. 올해 상반기 한국벤처투자가 운영하는 모태펀드와 성장사다리펀드를 통해 1,200억원 규모의 임팩트투자펀드를 조성했다. 일반 벤처캐피털(VC)의 관심이 적은 분야도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정부 자금을 ‘마중물’로 민간 투자도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다. 단계적으로 펀드 규모를 2022년까지 5천억원으로 확대한다. 청년 소설벤처의 창업 지원방안도 추진된다. 매년 창업자 100명을 선정해 최대 1억원의 사업화 비용을 지원한다. 내년부터는 대기업과의 연계사업 지원도 강화한다. LG·현대차·SK그룹 등이 이미 운영 중인 사회적경제기업 지원사업을 활용할 방침이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청년창업사관학교 내 소셜벤처에 대한 우대제도도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