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리조트에서의 관광활동, 크루즈관광, 해양스포츠관광 등 해안과 해양공간을 활용한 해양관광의 성장잠재력이 높게 평가되면서 해양관광은 새로운 관광트렌드인 동시에 블루오션 시장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여가문화가 성숙된 미국, 유럽 등에서 육상관광의 대안으로 부각되면서 해양관광시장 규모가 2020년에는 11억2천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전체 관광에서 해양관광이 차지하는 비중이 2020년에 40.8% 수준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해수욕ㆍ바다낚시 등 해양자원 단순이용에 그쳐
지금 해양관광 선진국에선 크루즈관광을 비롯해 해안ㆍ해양 탐방, 해양스포츠 등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워터프런트〔water front; ‘물가’라는 뜻으로 본래는 하안(河岸)?호안(湖岸)?해안(海岸)을 가리켰지만 오늘날에는 물가 개발지역을 총칭〕 재정비 등 차별화된 해양관광 시설과 기능 도입을 통해 신성장 관광 부문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향후 해양관광을 블루오션 시장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그간 해양경관 감상, 해수욕 등 단편적 활동 중심의 해양관광에서 최근에는 해양관광 기반 확충과 관광자원의 다각적 활용방안 모색에 따라 해수욕장 주변 해안뿐 아니라 해상ㆍ해중ㆍ해저 등으로 이용의 공간적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해양 레저ㆍ스포츠 등 레크리에이션 요소를 지닌 다양한 활동도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갯벌을 비롯해 다양한 해양관광자원이 입지ㆍ분포하고 있어 해양관광의 잠재력이 높음에도 해양관광 기반 취약, 해양관광자원 연계 및 차별화 부족, 지원체계 미흡 등으로 해양관광의 경쟁력이 높지 못했다. 더욱이 해양관광의 행태적 특성에 있어 하계에 집중(61%)됐고 해수욕(74.7%), 바다낚시(7.1%) 등 해양자원 단순이용형이 중심이었으며, 활동공간도 동해안(50%)과 남해안(34%)에 집중됐다. 해양관광은 전후방 연관효과가 큰 산업으로서 크루즈관광, 해양레저, 해양스포츠 등과 관광서비스업 간의 복합화를 통해 고부가가치화와 일자리를 창출해야 하나 실제 여건은 성숙되지 못한 상황이다.
크루즈관광의 경우 부산, 제주, 인천, 여수 등에 전용부두와 터미널을 확충하고 있으나 기반시설 및 기항지 관광서비스가 미흡하고, 관광 수요 또한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2012년 2월 최초 국적크루즈선이 취항했으나 2013년 2월부터 휴항한 상태다. 크루즈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과 기항지 관광서비스뿐 아니라 지원체계의 지속적 개선이 필요한 시점인 것이다. 정부는 크루즈관광의 매력과 신규 크루즈선사의 카지노 영업 허가를 통해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제도 개선 차원에서 지난해 11월 「관광진흥법」 시행령을 개정해 우리나라와 외국을 왕래하는 여객선의 카지노업 허가요건 중 선박톤수 기준을 종전 1만톤급 이상에서 2만톤급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다. 또한 여객선의 전년도 외국인 수송실적에 관한 허가기준을 폐지함으로써 크루즈선에서 카지노 영업을 할 수 있는 장벽을 낮췄다.
해양관광의 산업화와 고부가가치 실현에 중점 둬야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해양관광 활성화를 통해 각 지역의 산업구조를 획기적으로 바꾸고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선 워터프런트 확충, 해안역(海岸域)의 효율적 활용, 지역특화형 해양관광개발 유도, 내륙관광에서 해양관광으로 사회적 비용배분 전환 등 해양관광 수요창출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내국인 국외관광 수요의 국내 흡수, 한류 기반 문화관광과 연계한 외국인 해양관광객 유치 등을 통한 관광수지 개선 및 해양관광 활성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지역 또는 국가 단위에서 해양관광산업의 각 구성요소는 일종의 가치사슬(value chain)이라는 점에서 해양 신산업으로서 마리나 시설 및 마리나 서비스업, 크루즈산업, 해양레포츠 등과 연관된 구성요소의 네트워킹과 해양관광산업의 공급사슬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에 입각해 ‘해양관광 가치사슬 산업생태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이와 같은 해양관광 가치사슬에 입각한 창조적 산업생태계 구축에 있어 ‘수산어업 생산 공간과 해양관광과의 공존’을 모색하고, 해양관광자원 개발에선 지역의 특성과 고유한 컨셉을 적용해 차별성을 창출함으로써 해양관광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고부가가치화를 지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각종 시설은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환경창조형 기법을 도입해야 한다. 즉 해상공간의 기능적 체계성을 높이고, 다양한 관광활동 도입에 따른 해역이용의 기능적 상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며, 해양관광지 경관 창출 시 주변 어메니티(amenity)와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방향에 입각한 해양관광전략은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국정목표인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와의 연계를 통해 해양관광 분야에서도 창조경제형 산업생태계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해양관광전략 추진에선 두 가지 전략적 목표, 즉 해양관광 활성화를 통한 국민의 여가 향유와 삶의 질 향상과 해양관광의 산업화와 고부가가치 실현에 중점을 둬야 한다. 특히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서비스산업의 전략적 육성기반 구축’ 차원과 해양관광전략 간 연계가 필요하고, 나아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성장동력 강화를 위한 ‘해양 신성장 동력 창출 및 체계적 해양관리’ 측면과는 해양기술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해양관광전략 간 연계가 필요하다. 해양관광 가치사슬 산업생태계 구축과 해양관광정책 수립 및 시책에선 보존과 이용의 조화, 즉 ‘해양환경 보전과 개발의 조화’를 핵심가치로 한 추진이 중요하다. 미래사회의 인간은 ‘자연 회귀적 본성’에 의해 자극되면서 ‘자연스러움’, ‘본래 모습’에 더 큰 가치를 느낄 것이라는 점에서 해양관광에서도 이러한 방향과 맥을 같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