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두 번째 전문가 좌담은 ‘인공지능 시대,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산업 분야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AI의 본질부터 데이터 수집과 활용 방법, 일자리 대체 전망, AI 인력 수요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다루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일자리 문제와 관련해선 이전의 신기술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직업이 창출될 것으로 보는 예상과 기존의 경로와는 다를 것이라는 우려가 공존했다. 아울러 AI를 논할 때 빠지지 않는 데이터의 중요성과 규제 이슈에 대한 현장 관계자들의 허심탄회한 생각도 들어봤다. 클라우드 규제 완화를 비롯해 기술 오픈에 대한 가치를 인정해주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의 중요성과 AI 협업문화를 저해하는 연구소·학교의 제도적 요인 개선에 힘써야 한다는 쓴소리도 마다하지 않았다.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산업계 전문가 좌담,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클릭 click!
산업계 전문가로 이뤄진 이번 좌담회에서는 데이터 수집과 일자리 대체 등의 문제를 핵심사항 위주로 요약했다. 국내 AI 적용사례를 통해 AI 기술과 확장 가능성 등을 짚어보고, 모든 산업에 녹아든 AI가 일자리 대체에는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도 예측해봤다. 아울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AI 핵심 인재는 어떤 사람인지 그들의 솔직한 속내를 들어봤다.
「e경제정보리뷰」- 인공지능편의 전문가 좌담은 ‘인공지능 시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학계 전문가로 이뤄진 이번 좌담회의 최대 관전 포인트는 바로 ‘#3. 인력양성의 두 방향‘. AI 인력양성, 연구개발의 중심을 핵심 기술과 융합 기술 중 어디로 잡을 것인가를 놓고 뜨거운 설전이 오고 갔다. 핵심 기술 중심 교육의 관점에서는 AI의 근본적인 부분을 향상시키는 것에 집중하고, AI 전문가가 다른 영역의 전문가와 활발하게 협력하는 것을 추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융합적 교육의 관점에선 이미 한계에 부딪힌 AI 분야의 새로운 발견과 획기적인 발전을 위해선 폭넓은 견해를 가진 양손잡이 인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대한민국 AI 인력양성의 방향, 핵심 기술일까? 융합 기술일까?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클릭 click!
AI 인력양성 방향을 놓고 뜨거운 설전이 오고 간 이번 전문가 좌담을 핵심사항 위주로 편집했다. AI 현주소를 짚어 보고 향후 GPT(일반목적기술)로의 발전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COPYRIGHT ⓒ 2019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