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Issue03. 플랫폼노동
뉴욕타임즈가 꼽은 ‘2021년 최고의 드라마 시리즈’에 선정된 넷플릭스 드라마 [D.P 개의 날]의 원작자 김보통 작가와 KDI 경제정보센터가 웹툰으로 뭉쳤다! 정년퇴임 이후 인생 2막을 꿈꾸는 노진용이 좌충우돌하면서 한 걸음씩 나아가는 이야기.
네트워크(Network), 클라우드(Cloud) 등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은 플랫폼노동이라는 새로운 일자리를 양산했다. 플랫폼노동의 확산은 노동의 유연화라는 긍정적인 면이 있지만, 불안정한 일자리 증대와 플랫폼 종사자의 법적 보호라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그렇다면 노동시장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플랫폼 종사자들을 어떻게 보호해야 할까? 이 글에서는 법체계가 다른 미국, 영국, 프랑스를 중심으로 입법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우리의 방향성을 짚어 보고자 한다.
‘새로운 고용, 플랫폼 일자리의 등장’ 라는 주제로, 플랫폼 일자리의 정의와 현황, 특징, 플랫폼 종사자의 보호 방안 및 플랫폼의 책임 등에 대해 짚어봤다. 특히 전통적인 의미의 근로자와 다르기 때문에 기업과 사회에서 일하는 사람으로서 보호를 받지 못하는 플랫폼 종사자의 보호 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으며, 이 밖의 다양한 플랫폼 관련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우리 일상 속에 녹아든 플랫폼노동! N잡러 일상 엿보기 go! go!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 플랫폼노동이란?
플랫폼노동의 특징부터 관련 이슈들까지 플랫폼노동을 파헤쳐 보자!
「e경제정보리뷰」 2022-4호 좌담은 ‘새로운 고용, 플랫폼 일자리의 등장’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2000년대 중반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로 인해 등장한 플랫폼 일자리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이 확산되면서 더욱 크게 늘어났다. 플랫폼 일자리는 기존의 일자리와 달라서 종사상 지위를 일률적으로 판단하기가 곤란하며, 운영 형태도 다양해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플랫폼 일자리의 특징과 플랫폼 종사자의 보호 방안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보았다.
김보통 X KDI 프로젝트. 정년퇴직 이후 대리운전, 데이터 라벨링, 배달 라이더 등 다양한 플랫폼 일자리를 시도하는 노진용. 진입 문턱이 낮은 플랫폼 일자리의 특성 덕분에 노진용도 플랫폼을 통해 일자리를 구하지만 … 노진용에게 무슨 일이 기다리고 있을까?
김보통 작가와 KDI 경제정보센터가 함께 하는 플랫폼경제 웹툰. 플랫폼에 웹툰 작가로 정식 등록한 노진용에게 드디어 첫 작업 의뢰가 들어왔다! 수정에 수정을 거듭하면서 작품 완성에 심혈을 기울이는 노진용과 그를 지켜보는 주변인들의 반응은?
[아만자], [D.P.]의 김보통 작가와 KDI 경제정보센터의 웹툰 프로젝트, 마지막 화! 처음으로 플랫폼에 웹툰을 연재하게 된 노진용. 생각지못한 반응에 얼떨떨해진 진용과 의외의 장소에서 그를 조우하게 된 옛 직장 선배. 과연 그들의 인생 2막은?
COPYRIGHT ⓒ 2019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