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설명하는디지털 전환 이슈 마이데이터 에지 컴퓨팅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차 UAM 애그테크 챗GPT 로봇 프롭테크 플랫폼노동 탄소중립 NFT 스마트팩토리 메타버스 디지털 헬스케어 클라우드 인공지능 스마트시티 블록체인과 비트코인 디지털 플랫폼 승차 공유 핵심이슈 동영상 2020. Issue01. 블록체인과 비트코인 블록체인 탐구생활(영문판) 전문가 좌담 전문가 좌담-블록체인(요약)편 「KDI 경제정보리뷰」의 ‘전문가 좌담’은 오감(五感), 미각(味)-시각(視)-후각(嗅)-청각(聽)-촉각(觸)을 콘셉트로 하여, 주요 경제이슈에 대한 전문가의 생생한 좌담을 전달하고자 한다. 미각(味: 맛보자)은 전문가 좌담의 도입 파트로 해당 이슈에 대한 주제 설명을 주로 다루고, 시각(視: 살펴보자)에서는 현재 우리 삶 속에서 해당 이슈가 얼마나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와 함께 후각(嗅: 맡아보자)에선 긍정과 부정적 반응과 생각을 맡아보고, 청각(聽: 들어보자)에서는 세계의 각국의 목소리를 들어본다. 끝으로 촉각(觸: 느껴보자)에서 해당 이슈에 대한 앞으로의 예측, 방향성 등을 미리 느껴본다. 해외동향 블록체인, 4차 산업혁명의 기반기술로 진화할까? 탈중앙화와 투명성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은 거래효율을 높일 수 있어 금융과 유통, 공공서비스, 자산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도입이 이뤄지고 있다. 이처럼 특정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활용될 수 있는 이유는 블록체인이 기반기술의 특징을 갖기 때문이다. 경제·사회 전 영역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기반기술은 사회 곳곳에 스며들어야 하는 만큼 그 도입의 속도느 매우 느리다. 해외사례편에서는 각 분야에서 블록체인이 어떠한 모습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핵심이슈 동영상 비트코인 탐구생활 비트코인이란? 우리가 물건을 사거나 팔 때, 지폐나 동전 같은 현금, 신용카드 등으로 거래를 하는데요. 이때 사용되는 돈은 각국 중앙은행에서 발행해 유통시키고 은행이나 카드회사 같은 중개 기관을 거쳐야 합니다. 전문가 좌담 전문가 좌담-블록체인(상식백과)편 ‘블록체인’은 독자들에게 다소 생소할 수 있는 개념이다. KDI는 독자가 <전문가 좌담>을 보다 쉽고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에 대한 사전 지식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상식백과>를 마련하였다. 핵심이슈 동영상 블록체인 탐구생활 블록체인은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가명을 사용하는 개발자가 2008년 발표한 논문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에서 등장한 개념입니다. 이후 사토시 나카모토는 블록체인 기술을 응용하여 실제로 비트코인이라는 암호화폐를 구현했고, 이 때문에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이 동일하게 취급되기도 했지만, 사실 블록체인은 비트코인보다 더 광범위한 기술을 의미합니다. 전문가 좌담 전문가 좌담-블록체인(종합)편 「KDI 경제정보 리뷰」 2020-1호의 좌담은 ‘블록체인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까?’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각종 미디어에서 블록체인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이슈를 다루고 있지만, 대중들의 관심과 지식은 비트코인 정도에 한정되어 있으며, 그 외에는 우리의 삶과 큰 관련이 없다는 인식이 존재한다. 블록체인은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내용보다는 블록체인이 우리의 현재와 미래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전달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여론조사 블록체인 도입실태 및 향후 전망에 대한 의견조사 KDI 여론분석팀은 블록체인 기술의 현 도입 실태와 미래 전망을 살펴보고 블록체인 활성화를 위한 해법을 모색하고자 IT혁신기업종사자, 경영학 교수, 대기업, 중소기업,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12월 28일부터 2020년 1월 3일까지 자기기입식 웹(web) 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IT혁신기업종사자: 225명, 경영학 교수: 87명, 대기업: 115개, 중소기업: 125개, 금융기관: 90개). 소셜 빅데이터 분석 블록체인, 온라인 여론은? 신기술에 대한 기대-논쟁적 어젠다로 확대-기술 활용 논의 블록체인은 2009년 ‘비트코인‘의 기반 기술로 세상에 소개되었다. 이미 10년 전에 등장한 개념이지만 온라인에서 블록체인이 주목받게 된 것은 언제부터일까? KDI 데이터분석팀에서는 소셜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블록체인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및 쟁점 이슈의 변화 등을 알아보았다. 분석에는 소셜메트릭스를 사용하였다. 지난호 보기 2024. Issue 04 마이데이터 당신의 데이터는 지금 어디에 있나요? 2024. Issue 03 에지 컴퓨팅 클라우드와 에지 컴퓨팅의 동행 2024. Issue 02 디지털 트윈 디지털 트윈, 상상은 현실이 된다 2024. Issue 01 자율주행차 자율주행, 핸들이 사라집니다 2023. Issue 04 UAM UAM, 새로운 길을 열어라! 2023. Issue 03 애그테크 농업의 변신은 무죄, 애그테크입니다 2023. Issue 02 챗GPT 챗GPT가 몰고 온 생성 AI 열풍, 어디까지 갈까? 2023. Issue 01 로봇 인간과 교감하고 협업하는 로봇, 이제는 현실입니다 2022. Issue 04 프롭테크 발품은 이제 그만! 내 손 안의 부동산, 프롭테크 더보기 마이데이터 에지 컴퓨팅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차 UAM 애그테크 챗GPT 로봇 프롭테크 플랫폼노동 탄소중립 NFT 스마트팩토리 메타버스 디지털 헬스케어 클라우드 인공지능 스마트시티 블록체인과 비트코인 디지털 플랫폼 승차 공유 보기 지난호 보기 스페셜 경제정보리뷰더보기 팀튜링의 디지털 오디세이 팀튜링의 디지털 오디세이 [팀튜링의 디지털 오디세이] 제10화 감각의 미래 김국현 X KDI 경제정보센터 자료연구팀 팀튜링의 디지털 오디세이 [팀튜링의 디지털 오디세이] 제9화 교육의 미래 김국현 X KDI 경제정보센터 자료연구팀 팀튜링의 디지털 오디세이 [팀튜링의 디지털 오디세이] 제8화 양자 기술의 미래 김국현 X KDI 경제정보센터 자료연구팀 팀튜링의 디지털 오디세이 [팀튜링의 디지털 오디세이] 제7화 로봇의 미래, 휴머노이드 김국현 X KDI 경제정보센터 자료연구팀 많이 본 자료 발행물 전체 보험료율 9→13%, 소득대체율 40→42%… 지속가능성, 세대 형평성 고려해 연금개혁 추진 달러에 투자하는 4가지 방법 예금 vs 적금, 재테크 초보에게 어떤 저축이 유리할까? 김대리, 주식 세금은 ISA로 대비하자 미국 배당주로 제2의 월급통장 만들기 사회적 관점에서의 고령화 사회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쟁점 5가지 과기정통부, ‘누누티비 시즌2’에 강력 대응 의지 밝혀 보험료율 9→13%, 소득대체율 40→42%… 지속가능성, 세대 형평성 고려해 연금개혁 추진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발표 2025년 3월 최근 경제동향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의 노력, ESG경영 달러에 투자하는 4가지 방법 2025년도 제60회 공인회계사 제1차 시험 응시 결과 영상으로 만나는 경제 정보 Youtube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