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좌담
sns-카카오 공유
sns-페이스북 공유
화면 프린트 실행
링크 공유
폰트 크게 조절
폰트 작게 조절
탄소중립(요약)편
KDI 경제정보센터 자료연구팀
2022년 02호
'탄소중립, 지속 가능한 성장과 산업구조 혁신’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전문가 좌담은 경제성장과 탄소중립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기 위한 방안과 탄소중립이 산업·무역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저탄소 산업구조로 혁신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디지털 전환이 탄소중립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와 더불어 성공적인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정부의 역할 등에 대한 제언도 들어보았다.
♦ 목 차 ♦
1. Prologue: 탄소중립 개념 및 선언 배경
2. 탄소중립과 지속 가능한 성장
3. 탄소중립과 산업구조 혁신
4. 한국의 비전: 정부의 역할 및 제언
1. Prologue: 탄소중립 개념 및 선언 배경
□ 탄소중립이란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제거하여 실질적인 배출량이 0(Zero)이 되도록 하는 개념
□ 이상고온, 폭우 등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상황에서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EU, 영국, 미국, 한국 등 주요국은 탄소중립 선언
2. 탄소중립과 지속 가능한 성장
□ 일반적으로 경제가 성장할수록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하나 영국,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는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에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하는 탈동조화(Decoupling) 현상이 나타남.
□ 탈동조화의 원인은 국가별로 상이하나, 탄소집약도가 낮은 서비스업 중심으로 산업구조를 변경하거나 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부문에서의 혁신과 효율성 제고를 통해 달성한 것으로 판단
□ 우리나라는 관련 기술 부족, 재생에너지 확보에 불리한 여건 등으로 탈동조화에 도달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
□ 경제성장과 탄소중립은 단기에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일 수밖에 없으나, 장기적으로는 양립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
• (기술 개발) 2030년 이후 필요한 기술은 현재 절반 이상이 개발되지 않았거나 데모 단계에 있음. 이러한 기술들을 어느 정도 선점할 수 있느냐가 경제성장과 탄소중립 동시 달성의 열쇠
• (최적 경로) 국제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이행 경로와 각 시점마다 이행 전략 모색
• (지속 가능한 성장) 온실가스 감축에만 집중하기보다 탄소중립·자원순환 제품 및 기술 등에 기반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 마련
3. 탄소중립과 산업구조 혁신
□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은 우리나라 전체 배출의 35.8%(간접 배출을 포함 시 54.0%)로 큰 비중을 차지. 탄소중립으로의 이행은 산업부문에 주력제품의 변화, 생산공정의 전환, 원료의 대체 등을 야기
• (주력제품의 변화) 내연기관차를 전기·수소차로 변경 등
• (생산공정의 전환) 철강 생산 시 석탄 대신 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수소환원제철법으로의 전환 등
• (원료의 대체) 플라스틱 대신 바이오 소재 사용 등
□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높은 산업구조로, EU의 CBAM(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논의 본격화 등 환경 규제 강화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
• (CBAM 대상 업종) 대EU 수출에 부정적 영향 예상, EU 역외 다른 국가들과의 비교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 상승률로 새로운 기회 창출 가능
- CBAM 적용 시 국가별 탄소집약도에 따라 가격 상승률 상이
• (CBAM 대상 품목 중간재 사용 업종) 중간재 가격 상승으로 오히려 EU 역내 기업들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
□ 산업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저탄소 산업구조로 전환·혁신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 기업의 기술혁신,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부의 산업정책이 필요
• (에너지 공급 및 가격 안정화)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을 유도하기 위한 적정 요금 부과, 신재생에너지·전기자동차의 핵심 원료인 광물자원 공급망에 대한 안정성 확보, 화석연료 일정 사용을 위한 CCUS 개발 등 필요
• (기업의 기술혁신) 수소환원제철 등 저탄소 전환 핵심 기술 상용화에 매진
• (정부의 산업정책) 저탄소 전환은 산업시스템의 전체적인 변화가 필요한 만큼 정부의 산업정책을 통해 진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는 효율적인 에너지 생산·소비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저탄소 산업구조로 이행하는 데 기여
• 디지털 전환은 다량의 전기 소비를 야기하고, 이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 존재
• 그러나 국내 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제조업 부문에 ICT 활용 시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에너지 소비의 집약도를 낮추는 효과 발생
• 저탄소 산업구조로 이행함에 있어 ICT는 에너지의 생산·소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에너지 관리의 핵심 수단이 될 것
4. 한국의 비전: 정부의 역할 및 제언
□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산업의 경쟁력을 잃지 않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
□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등 인프라 구축
• 온실가스 배출량·감축량 및 제품 탄소 내재량 등에 대한 검증 절차를 국제기준에 맞추고, 국제상호인정협정을 체결해 우리나라에서 받은 인증이 해외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함.
• 수소 등 청정에너지 공급에 대한 명확한 계획 마련 및 순환자원 인프라 조성
• 정부 부처 간 협업체계 구축
□ 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국제 공조 방안 모색
• 기후 대응에 선제적으로 룰 세팅(rule setting)을 하기 위해서는 탄소 관련 무역 시장에서 우리와 비슷한 위치에 있는 국가들과 협력하는 것이 필요
□ 중소기업 지원책 마련 및 자원 재활용 분야 중소기업과 대기업 동반성장 모델 발굴
• 저탄소 전환은 상대적으로 대응력이 떨어지는 중소기업에 큰 타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중소기업 지원책 마련 필요
•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 재생업’은 현재 대부분 중소기업에서 진행하고 있으나, 새로운 대체 물질(플라스틱, 배터리 재활용 등)을 개발하는 것은 중소기업 단독으로 하기 어려운 만큼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동반성장 모델을 발굴해야 함.
□ 잠재성장률 제고에 초점을 두고 정책 실행
• 내부적으로 기업의 R&D 투자에 대한 규제를 낮춰 미래산업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외부적으로 무역 관련 여러 협상에 적극적으로 대응
* 이 내용은 전문가 좌담 내용을 재구성한 것으로 KDI의 공식 견해를 대변하는 것은 아닙니다. 본 내용을 보도하거나 인용할 경우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