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이슈 동영상
탄소중립 - 개념편
KDI 경제정보센터 자료연구팀
2022년 02호
#1. 단 2℃, 지구의 온도가 2℃ 높아지면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2. 전 세계 산호의 99%가 소멸할 뿐만 아니라 10만 5000종의 생물 중 상당수가 멸종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도시 열섬과 여름철 폭염 가능성이 높아지는 한편 말라리아, 뎅기열 등 감염성 질병이 더욱 넓게 확산되고
#4. 북극과 남극의 빙하는 물론 고산지대의 영구동토층까지 녹아내려 지구온난화 속도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습니다.
#5. 국제사회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과 다양한 생물종의 멸종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2015년 파리협정을 채택하고,
#6.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2℃보다 훨씬 아래로 유지하고 나아가 1.5℃ 로 억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7. 또한 2018년 10월 우리나라 송도에서 개최된 IPCC 총회는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를 통해
#8. 지구의 평균온도 상승폭을 1.5℃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전 지구적으로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0년 대비 45% 이상 감축하고,
#9. 2050년에는 탄소중립(Net-zero)을 달성해야 한다는 경로를 제시했습니다.
#10. 여기서 탄소중립은 ①인간 활동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11. ②남은 이산화탄소는 산림 등을 통해 흡수하거나 탄소포집 기술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12. ③실질적인 배출량을 0(zero)이 되게 한다는 개념을 의미합니다.
#13. 이처럼 기후위기에 대한 심각성이 커지면서 주요국은 탄소중립 선언을 가속화하기 시작했습니다.
#14. 영국과 EU, 일본은 2050년 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법제화에 나섰고, 미국은 2050년, 중국도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관련 내용을 문서화 했습니다.
#15. 우리나라도 2020년 10월 탄소중립 선언을 시작으로, 2021년 5월 탄소중립위원회를 구성했으며, 2021년 10월에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마련하는 등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16. 우리나라는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갖고 있으며,
#17. 탄소배출이 많은 화석연료 중심의 발전과 낮은 재생에너지 비중의 에너지 구조로 인해 탄소중립을 위해 산업 및 에너지 구조를 근본적으로 전환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18. 즉, 탄소중립은 우리나라의 산업발전 경로를 완전히 전환해야 하는 도전적인 과제입니다.
#19. 그러나 탄소중립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글로벌 산업 판도를 바꾸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20. 오히려 우리 산업의 역동성을 회복하고 새로운 미래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21. 다음 영상에서는 탄소중립을 둘러싼 핵심과제인 에너지 정책을 자세히 알아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