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롭테크(PropTech)는 기존의 부동산 서비스와 혁신 기술을 접목시킨 형태의 산업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2. 전통적으로 부동산 산업은 첨단기술과는 거리가 먼 것처럼 느껴졌는데요,
#3. 지금부터 기술혁신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동산 산업, 프롭테크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4. 프롭테크 산업은 크게 정보평가, 거래, 운영, 금융 부문으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5. 우선 정보평가 부문 프롭테크는 중개 매물 정보를 제공하면서 개별 부동산의 가격 예측이나 매매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6.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미국의 질로우(Zillow)나 우리나라의 직방, 다방, 부동산114 등을 들 수 있는데요.
#7. 질로우(Zillow)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주택의 최적가격을 분석하는 등 다양한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8. 우리나라의 프롭테크 기업들 역시 3차원(3D)·가상현실(VR)·인공지능(AI)·빅데이터 분석 등 IT 기술을 활용해
#9. 부동산 매물 정보의 투명성과 정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10. 한편 프롭테크 기업이 중개에서 나아가 부동산 직매입을 통한 거래까지 하는 아이바이어(i-Buyer) 모형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11. 미국의 오픈도어(Opendoor)가 대표적인 사례인데요.
#12. 프롭테크 기업이 개인에게 집을 구입해서 다시 개인에게 되파는 과정에서 수리, 매물등록, 법률서비스, 대출 등 모든 서비스를 대행하고 있습니다.
#13. 한편 운영 부문은 인테리어나 공유서비스 분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14. 우수 인테리어 사례를 공유하고 인테리어 제품의 정보나 비용 등을 소개하는 오늘의 집, 집닥, 한샘 등이 대표적입니다.
#15. 숙박공유 회사인 에어비앤비나 사무실 공유회사인 패스트파이브 등 공유경제형 프롭테크 역시 운영 부문 프롭테크 기업에 속합니다.
#16. 최근에는 공유주방, 공유서재 등 다양한 공유서비스 분야에 프롭테크 기업이 진출하고 있습니다.
#17. 한편 금융부문 프롭테크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댑스(DABS)라는 디지털 증권 방식으로 부동산을 거래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18. 카사코리아(Kasa Korea)는 우리나라 최초로 댑스(DABS)를 통한 개인의 상업용 부동산 조각 투자 시대를 연 거래소인데요.
#19. 이제 개인 투자자들도 서울 주요 지역의 오피스 빌딩 및 호텔, 물류센터 등 대형 건물을 최소단위 5,000원부터 투자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20. 이처럼 상업용 부동산의 조각 투자가 가능해지면서 항공, 물류, 임대산업 등 다양한 대체투자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1. 부동산 산업에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VR/AR 등의 IT 기술이 융합되면서 부상한 프롭테크.
#22. 프롭테크를 통해 기존 시스템으로 구현하지 못했거나 비효율성이 발생했던 부문에서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고,
#23. 기존 산업과 신산업이 상생하고 협력하는 부동산 서비스 생태계가 구축되기를 기대합니다.